지난 1년 동안 공공부문 비정규직 약 13만3000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노동부는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추진 계획'을 발표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약 1년 동안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공공부문 비정규직 13만2673명이 정규직 전환 결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정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계획에서 2020년까지 전환 대상 인원(17만4935명) 75.8%에 해당한다.
정부는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계획 발표에 이어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1단계 전환에 착수했고 지난달부터는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등을 대상으로 2단계 전환을 진행 중이다.
올해 상반기까지 정규직 전환 결정이 된 비정규직 가운데 기간제는 6만6745명이다. 이는 2020년까지 전환 대상 인원(7만2354명)의 92.2%로, 사무보조원, 연구보조원, 의료업무 종사자 등이 다수를 차지한다.
파견·용역은 6만5928명 정규직 전환 결정이 이뤄졌다. 전환 대상 인원(10만2581명)의 64.3%로, 시설물 청소원·관리원, 경비원 등이 많다.
중앙행정기관 47곳은 전환 대상 인원을 14.6% 초과한 1만1108명의 기간제 전환이 결정됐다. 정규직 전환이 결정된 파견·용역은 9073명으로, 전환 대상 인원의 79.9%다.
지자체 226곳에서는 기간제 1만6673명(전환 대상 인원의 87.8%), 파견·용역 1380명(22%)이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교육기관 기간제는 89.2%, 파견·용역은 65.3%가 정규직 전환 결정이 완료됐다.
고용부는 기간제와는 달리, 파견·용역은 기존 소속 업체와의 계약 종료 시점이 각기 다르고 이해관계도 복잡하게 얽혀 있어 노·사와 전문가 등이 참가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정규직 전환 결정을 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고용부는 최대한 신속하게 기간제의 정규직 전환을 마무리하고 하반기에는 파견·용역 부문 정규직 전환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성기 고용부 차관은 “지난 1년간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노·사·정 모두 지혜를 모아 노력한 결과, 연차별 전환 계획에 따라 정규직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부는 지난 1년 동안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노·사 협력을 통한 정규직 전환 △직무 중심 임금체계 도입 △바람직한 자회사 설립·운영 등 모범 사례를 모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사례집'을 발간했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