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거품논란 종식을 위해 성공사례 확대가 절실하다. 산업 특수성을 고려한 장기적 투자와 기업 연구개발(R&D) 역량 확대, 사업화 연결고리 강화가 필요하다.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연구소·대학이 보유한 후보물질은 934개다. 세계적으로 5~6위 수준이다. 짧은 산업 역사를 고려하면 눈부신 성장이지만,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 성장세는 더 가파르다. 바이오 선진국으로 꼽히는 일본의 파이프라인은 1209개며, 국가적 투자가 활발한 중국도 1359개나 보유한다. 임상단계에 진입한 물질은 일본이 619개로 우리보다 두 배 가까이 많다. 중국도 283개로 바짝 뒤쫓고 있다.
대부분 R&D 단계에 머물다 보니 매출도 미미하다. 2016년 바이오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기업 980개 중 33%(329개)는 여전히 매출이 없다. R&D 투자 역시 설비투자를 제외하면 0.6% 증가하는데 그쳤다. R&D 강화와 상업화로 이어질 연결고리 지원이 필요하다.
바이오산업 특수성을 고려한 인식개선도 요구된다. 바이오는 10년 이상 R&D 과정이 소요되다. 장기적 비전과 투자가 필수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정부, 기업 모두 5년을 마지노선으로 투자 대비 성과를 요구한다”면서 “바이오산업은 미래 가치와 성공 가능성에 투자를 하는 영역인데, 단기간에 성과를 요구하는 것은 무리다”고 지적했다.
제조업 관점에서 최종 완성품에만 가치를 두는 인식도 개선이 필요하다. 차바이오텍 '영업이익 뻥튀기' 논란은 바이오산업의 해묵은 'R&D 자산화 기준' 대표적 사례다. 한미약품을 포함해 일부 바이오·제약기업이 완성품이 아니라 임상 단계 진입한 기술을 수출한다. R&D 단계 중 자산으로 인식할 기준이 필요하다.
유 센터장은 “한미약품을 시작으로 셀트리온 등이 우리나라도 신약개발이 가능하다는 기술 검증과 문화를 만들었다”면서 “논란을 계기로 R&D 자산화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등 산업 성장세가 꺾이지 않도록 육성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정부가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해 연간 300억원을 투입하지만, 임상 3상 수행비용만 1000억원 이상 소요되는 등 현실과 괴리가 있다”면서 “민간, 정부가 통합 거버넌스를 구성해 후보물질 발굴부터 상업화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