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은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환영하면서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정착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희망했다.
정전협정 당사자이자 과거 북핵 6자회담을 주도해온 중국은 정상회담의 성공을 지지하며 비핵화와 평화체제 등 한반도 현안을 해결하는데 있어 적극적으로 역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남북 양측의 노력에 찬성하며 한반도의 가까운 이웃으로서 남북 양측의 대화 전개와 화해·협력 추진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도 미국과 동일하게 북한을 CVID(불가역적인 비핵화)로 이끄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21일 북한이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실험 중지를 발표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움직임”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지난 9일 국회에서 “남북정상회담은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당시에도 있었지만 비핵화로 전혀 연결되지 않았고 오히려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을 향상시켰다”며 “과거(의 사례)에 입각할 때 대화를 위한 대화는 의미가 없다”고 경계했다.
러시아도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통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동북아 안보체제를 구축하고 역내 교류와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유럽연합(EU)도 비핵화 문제를 다룰 이번 정상회담에 커다란 관심을 보이며 지지 입장을 밝혔다. EU의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페데리카 모게리니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성명을 통해 “EU는 다가오는 남북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을 고대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고위급 회담이 신뢰를 구축하고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기를 소망한다” 말했다.
동남아·중동국가도 정상회담 개최를 크게 환영했다. 인도네시아 최고입법기관인 국민평의회(MPR)의 줄키플리 하산 의장은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한국의 주도적 노력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태국 외무부는 최근 성명에서 “태국은 최근 한반도 문제의 긍정적인 발전을 환영한다. 우리는 이런 관계의 진전이 한반도의 비핵화, 항구적인 평화와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집트 외교부는 성명에서 북한의 핵실험 중단과 ICBM 시험발사 중단 발표에 대해 “한반도의 신뢰 구축 환경과 평화를 증진하고 한반도에 개발과 안정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환영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