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총재가 사실상 처음 연임하게 됨에 따라 해외 주요국 중앙은행과 같은 장수 총재 등장 가능성을 열었다.
청와대는 2일 이주열 한은 총재를 차기 총재로 재임명했다고 발표했다.
한은 총재 연임은 1974년 김성환 전 총재 이후 44년 만에 처음이며 세 번째다. 1998년 전까지는 한은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 의장이 아니었던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첫 사례다.
규정상 한은 총재직은 한 차례 연임이 가능하지만, 한은 역사상 연임은 김유택 전 총재와 김성환 전 총재 등 두 차례뿐이었다.
반면 해외에서는 중앙은행 총재 연임이 흔한 일이다.
앨런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은 20년간 자리를 지켰고 벤 버냉키 전 의장도 8년간 재임했다.
오히려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던 재닛 옐런 전 의장이 단임한 것이 39년 만에 처음이었다.
중국 저우샤오촨 인민은행 총재는 2002년부터 16년째 총재직을 유지 중이다. 일본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최근 연임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는 이렇게 오랜 기간 교류한 각국 총재들이 서로 눈빛만으로도 교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재는 무난하게 통화정책을 펼쳤다는 평가를 받지만, 국내에서는 워낙 전례가 없었기 때문에 연임에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연임 배경으로는 통화정책 전문가가 필요한 현재 상황이 꼽힌다.
대외적으로는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역전이 눈앞에 닥쳤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4회 인상할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민감한 시기에 금통위에만 13년간 참석한 정통 한은맨인 이 총재가 연임하면 통화정책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총재 연임은 정부가 중앙은행을 좌지우지하지 않고 통화정책의 중립성을 존중한다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조성묵기자 csmo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