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5주년 특집Ⅲ]교육부, 융복합 인재 양성에 힘써야

Photo Image
지난달 열린 2017 이러닝코리아 모습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K무크 참여대학과 강좌 수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기술 융합을 통한 초연결사회로 일컫는다. 모든 산업에 인공지능(AI) 기술이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기술 지배사회'로도 읽힌다.

초연결사회로 가면서 사람 간 공유도가 높아져 긴밀히 연결된다. 복합한 문제일수록 사람만이 해결할 수 있다. 초연결사회일수록 '더 인간다움'이 요구되는 사회가 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4차 산업혁명 대응의 핵심 축으로 '교육혁명'이 지목되는 것도 이러한 배경 때문이다.

세계경제포럼(WEF)과 미국 보스턴컨설팅 자료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은 단순히 일자리 지형 변화라는 피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직무 역량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요구되는 핵심 역량으로 복합문제 해결능력, 인지역량(창의 사고), 유연성, 커뮤니케이션 같은 '소프트스킬'이 꼽혔다.

교육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시스템을 전면 개편한다. 교육부는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소통 능력 △협업 능력 강화를 목표로 교육방향을 수정한다.

교육부는 우선 토론, 발표 등 학생 참여중심 수업을 대폭 늘린다. 진로탐색 연계 아웃리치 프로그램 등 융합교육도 활성화한다.

4차 산업혁명의 근간 기술로 꼽히는 소프트웨어(SW)교육 환경도 조성한다. 2021년까지 모든 초·중학교에 동아리를 만들고, 자기주도 SW교육 환경을 만든다. SW교육 초·중등 핵심교원 도 1만명 양성한다.

SW교육 연구·선도학교는 올해 1200곳에서 내년까지 3000곳으로 두 배 이상 확대한다. 창의·융합인재를 위한 STEAM 교육 과정도 늘린다. 일대일 맞춤학습 처방이 가능한 지능형 학습분석 서비스 등 스마트 교육 환경 구축에도 적극 나선다.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도 구축한다. 공공·민간의 다양한 교육자료를 공유·유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미래 핵심 인재 양성을 목표로 '고교 학점제' 도입도 검토한다. 무학년제를 기반으로 한 고교 학점제 도입으로 진로·적성 맞춤형 교육으로 전환한다. 학점제를 통한 벽 없는 학교도 실현한다. 일반고-특성화고 등 연계를 통해 학생이 원하는 시기에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 자율성 확대, 사업구조 단순화를 골자로 하는 대학재정지원사업도 개편한다. 그동안 정부 주도의 사업 방식, 대학의 자율성 제한, 사업 유사·중복 등 문제 제기가 지속돼 왔다.

교육부는 개편 방안을 마련해 현장 의견을 수렴, 올해 말까지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연계한 제3차 고등교육 재정투자 지원계획은 내년부터 추진한다.

공학 인재 양성을 위한 4차 산업혁명 선도 혁신대학도 지정해 지원한다.

Photo Image
K무크 참여 대학과 강좌수 추이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중심으로 K-무크(MOOC) 강좌를 확대하고, 이를 활용해 기업 수요에 맞는 단기교육도 운영한다.

창업 초기기업 지원도 확대한다. 대학창업기업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대학 및 대학법인의 개인투자조합 결성을 허용한다. 대학생, 졸업생 등 대학창업기업 위주로 투자하는 대학창업펀드도 조성한다. 창업 실패 시 재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 창업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도 힘쓸 방침이다.

교육부는 대학과 기업 연계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지역대학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공기관 및 혁신기업 수요에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갖춘 학과를 개설·운영하도록 지원한다. 공공기관은 이를 우선 채용하는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대학 유휴 부지에 지역 내 산·학·연 협력을 위한 산학기술단지를 조성한다. 2019년 4군데를 1차 목표로 하고 있다. 2022년 16군데로 산학기술단지를 확대한다.

임기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은 “고착화된 저성장 기조와 앞으로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결국 교육에서 정답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은 융·복합 인재 양성을 핵심 과제로 협력, 기획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체제를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임 원장은 “재직자를 대상으로 문제 해결 능력 등 부족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재교육과 전환교육 체제 구축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