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남은 가입자 정리하고 사업등록증 반납
홈플러스가 알뜰폰 시장에서 철수한다. 남은 가입자를 정리하고 사업등록증을 반납하기 위한 행정 절차에 들어갔다. 알뜰폰 시장 철수는 경영 효율화를 위한 결정으로, 알뜰폰 시장 위축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는 최근 미래창조과학부에 알뜰폰 사업 등록인 `별정 4호` 철회 의사를 밝히고 후속 행정 절차에 착수했다.
홈플러스는 2013년 3월 `플러스 모바일` 브랜드로 KT와 손잡고 알뜰폰 시장에 진출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MBK 사모펀드에 매각되는 등 경영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알뜰폰 사업을 구조조정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지난달 기준 가입자는 9700명 수준으로 줄었다.
홈플러스는 알뜰폰 완전 철수 방침을 정하고 미래부와 이용자 보호 대책을 논의한다.
앞으로 2~3개월 안에 합당한 보호 대책을 수립하면 이를 바탕으로 서울전파관리소에 별정통신사업자 철회 신청서 접수 절차를 밟는다.
미래부는 홈플러스가 사업 철수 관련 행정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의사를 통보함에 따라 이용자 보호 대책 논의에 들어간다.
〈뉴스의 눈〉 알뜰폰 철수 첫 사례…이용자 보호 `주목`
홈플러스 알뜰폰은 대형 마트 유통과 알뜰폰을 결합한 사업 모델로 주목받았다.
2013년 홈플러스 모회사이던 영국 테스코는 유럽에서 `테스코 모바일`로 가입자를 300만명 모은 사업 모델을 한국에도 도입했다.
전국 140개 대형 매장 유통망과 1700만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당시로는 30%라는 파격의 할인요금제를 내세웠다. 대형 마트 라이벌인 이마트도 뒤이어 시장에 진입했다. 그러나 4년 만에 철수를 결정했다.
홈플러스 시장 철수는 내부 경영 문제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알뜰폰 시장 전체 위기로 간주하는 건 올바른 판단이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통신 사업은 특성상 초기 투자로 거대 가입자 기반을 마련, 손익분기점(BEP)을 돌파하고 수익을 지속 창출하는 일이 성패를 가른다. 홈플러스는 2014년 가입자 2만1000명에 이르렀을 때 사업 확장 또는 축소 기로에 섰다.
그러나 MBK 사모펀드 매각 추진 등 내부 경영 위기로 알뜰폰은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 지난해 4월 이후 사실상 신규 가입을 중단했다
알뜰폰 관계자는 27일 “홈플러스 알뜰폰 사업 정리는 내부 사정에 따른 것”이라면서 “알뜰폰 시장의 수익성이 좋지 않다고 하지만 성장 여력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홈플러스가 사업을 접으면서 9700명의 남은 가입자를 보호하는 문제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기존 가입자에 대한 합당한 보상안을 마련해야 하고, 통신 서비스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을 터야 한다. 대기업의 알뜰폰 최초 철수여서 하나의 선례가 될 전망이다.
망 제공 사업자인 KT 또는 LG유플러스가 기존 가입자를 흡수하는 방안이 유력하지만 매각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용자 보호 대책이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 철회 불가 방침이 내려질 수도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보호 대책을 철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미래부와 알뜰폰 사업 관련 협의를 다각도로 하고 있다”면서 “현재 가입자는 불편 없이 알뜰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알뜰폰 사업 주요 내용>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