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에서 몰래 출입금지 구역에 들어가 야생 동·식물을 수렵하다간 `드론`에 걸려 창피를 면치못하게 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불법 야생 동·식물 수렵 행위와 실수로 금지구역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데 무인기(드론)와 무인계도시스템을 활용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드론과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기반 무인계도시스템 등 첨단 무인 순찰시스템을 활용해 광범위한 국립공원 일대를 효과적으로 관리한다고 21일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전국 국립공원사무소와 국립공원연구원에 총 34대 드론을 도입했다. 드론으로 공원 순찰, 자원 조사, 산림병해충 예찰, 생태계 모니터링, 조난자 수색 등 다양한 공원관리 분야에 활용한다.
한려해상 등 해상·해안 국립공원에 `드론 해양순찰단`을 조직해 멸종위기종 등 자연자원 반출 행위 단속에 이용한다. 해양 쓰레기 투기 행위 감시, 해파리·적조 모니터링 등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에도 사용한다.
CCTV 기반 무인계도시스템은 국립공원 내 샛길 출입으로 인한 탐방객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해 순찰 인력을 배치하기 어려운 샛길 등 주요 지점에 설치했다. 이동형 무인계도시스템은 샛길에 방문객이 출입할 경우 레이더와 적외선 센서로 감지해 `출입 금지 구역 입니다`라는 안내 음성을 자동으로 방송한다. 또 샛길 출입 상황을 직원 스마트폰이나 사무실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송출해 관리한다.
무인계도시스템은 CCTV용 카메라, 레이더복합센서, 조명, 경고방송 스피커, 인터넷 장비 등으로 구성됐다. 이동형(이지워치)과 고정형(텔레비트) 2종류가 있다. 현재 전국 국립공원 샛길에는 이동형 49대를 포함, 총 82대의 무인계도시스템이 배치됐다.
이진범 국립공원관리공단 환경관리부장은 “산악 고지대나 배가 접근하기 어려운 무인도 등 지역이 넓고 지형이 험한 국립공원 관리를 위해 무인기와 무인계도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며 “무인기 운용 전문인력 양성과 영상자료 데이터 구축, 무인계도시스템 종합관제 상황실 운영 등 과학적으로 국립공원을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함봉균 에너지/환경 전문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