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스마트공장 정책이 고도화·국제표준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드러났다. 50개 첨단 시범공장을 육성하고, 2020년까지 국제표준화를 완료해 고도화 된 스마트공장을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스마트공장 고도화·국제표준화가 설익은 상태에서 보급·확산에 주력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표준협회가 발간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일본 정부의 추진 전략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고도화 된 50개 시범공장을 만들고,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국제표준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스마트공장 보급·확산보다 고도화와 기반조성에 정책역량을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일본은 지난 6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일본재흥전략 2016`을 발표했다.
이상동 표준협회 표준정책센터장은 “일본 4차 산업혁명 정책 특징은 사회 시스템에 실증하면서 추진한다는 것”이라면서 “일종의 벤치마킹 모델인 시범공장은 기술과 표준을 활용해 많은 사람들이 활용가능한 스마트공장을 만들겠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이어 “이와 더불어 일본은 국제표준화 작업으로 자국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국제표준으로 만드는데 주력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일본은 이미 스마트공장 국제표준 확립에서 영향력을 행사할만한 위치에 있다는 평가다. 스마트공장 국제표준 논의가 많은 국제전기기기위원회(IEC) 기술위원회(TC)65에서 일본 국제임원 5명이 활동한다. 이는 덴마크(26명), 미국(16명), 프랑스(7명) 다음으로 많은 수치다. 표준을 주도하는 것은 아니지만 표준제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만한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에 정책 역량을 쏟는다.
정부는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1만개를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 9월 395억원 규모 추경예산도 중소·중견기업 중심 스마트공장 도입에 쓰일 예정이다.
고도화 된 스마트공장 핵심기술·국제표준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스마트공장을 확산에 목맨다는 지적이다.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대표 스마트공장`은 현재 1곳에만 구축됐다. 스마트공장 국제표준 작업도 미흡하다. IEC TC65에 참여는 하지만 임원은 없다.
이에 따라 대표 스마트공장을 확대하는 등 고도화에 정책 지원을 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국제표준화도 적극 지원해 최소한 흐름에 뒤처지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책적으로 스마트공장 1만개 보급 구호가 나가면서 이미 다른 논리가 안 먹히는 상황”이라면서 “스마트공장은 데이터를 끌어 모으는 것보다 데이터에서 부가가치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수준에서 스마트공장을 확산하면 기존 공장에 센서를 붙이는 것밖에 안 된다”고 꼬집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으로 기업이 스마트공장 초기 경험을 쌓아야 한다는 방침이다. 국제표준은 큰 틀에서 방향을 살피면 된다는 입장이다.
배경한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 부단장은 “고도화를 지향하는 것은 맞지만 (기업이)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고도화를 따라갈 수는 없다”면서 “표준화는 방향을 잘 따라가면 되고, 가이드라인을 기업에게 제공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세계적 수준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끌어가고 있고, 데모 스마트공장은 더 만들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