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엔지니어링 산업 육성에 팔을 걷었다.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엔지니어링 기업 기술 역량을 강화한다. 이에 따라 엔지니어링 산업 고부가가치 분야를 키운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열린 제16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엔지니어링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 미래창조과학부, 행정자치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참여했다.
경쟁력 강화방안은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후속조치다.
엔지니어링 산업은 기획, 기본·상세설계, 프로젝트관리,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이다. 고용유발효과는 물론 부가가치가 매우 높지만 제조업과 건설·플랜트 산업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다. 산업부는 엔지니어링 산업 부가가치율 65.3%에 이르러 엔지니어링 서비스업(56.4%), 제조업(21.1%)보다 높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선진국 기업은 시공보다 기본설계 등 부가가치가 높은 엔지니어링 분야에 역량을 집중한다. 플랜트, 건설뿐만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도 엔지니어링 개념을 도입해 제조 경쟁력을 향상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세계 엔지니어링 시장 점유율은 미국 31.5%, 캐나다 12.6%, 네덜란드 9.9% 순이다. 우리나라는 2.4%에 불과하다.
정부는 우리나라 엔지니어링 산업 엔지니어의 역량·경험이 부족하다는 판단이다. 기본설계 등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실무형 인재양성,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성장기반 구축, 제조 엔지니어링 시장 창출을 목표로 경쟁력 강화방안을 내놓았다.
구체적으로는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해 엔지니어링개발연구센터 구축으로 3D 기반 가상훈련 플랜트를 운영한다. 액화천연가스(LNG) 액화플랜트 설비를 엔지니어 실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해외 플랜트 설계 엔지니어링 교육기관 교과과정을 우리나라에 도입한다. 산업부, 국토부 등 부처간 공동 연구개발(R&D) 과제기획으로 유관분야 설계기술 개발에서 실증까지 연계해 트랙레코드를 축적할 계획이다.
기술력 중심 경쟁 안착을 위해 사업자 선정시 적격심사방식 기술배점을 상향한다. 추가업무 등에 대한 대가지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현행 공사비 요율 방식도 세분화 한다. 단계적으로는 실비 정액가산 방식(투입인원에 인당 인건비를 곱한 실제비용을 계산) 확산도 도모한다.
이 외에 제조 엔지니어링 시장 창출을 위해 저렴한 중소기업용 엔지니어링소프트웨어(SW)를 개발, 수퍼컴과 연계한 클라우딩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서비스 강화 등 대책도 내놓았다. R&D 참여시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연구결과물 성능검증 등 공공 분야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확산을 꾀한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엔지니어링은 산업의 기초체력이자 기본 중의 기본”이라며 “우리 기업이 엔지니어링 산업의 경쟁력 혁신에 앞장설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