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용의약품 시장, `바이오` 바람타고 비상 준비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동물용 의약품 시장 규모

동물용 의약품 시장이 주목받는다. 전량 수입하던 백신 국산화는 물론 유전자, 세포 치료제 등 고부가가치 의약품 개발도 본격 추진된다. `바이오` 바람을 타고 동물용 의약품도 새로운 산업으로 커나갈지 주목된다.

10일 정부와 의약품 업계에 따르면 동물용 의약품 시장 육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와 민간 연구개발(R&D)이 활발히 진행된다. 반려견 수요가 급증하고 돼지, 말 등 동물 산업이 커진데 따른 결과다.

Photo Image
국내 동물용 의약품 시장 규모

지난해 기준 세계 동물용 의약품 시장 규모는 259억달러(약 28조8422억원)로 추산된다. 2009년부터 연평균 5.7% 성장세다. 국내 시장은 지난해 6540억원을 기록했다. 2014년과 비교해 12.6% 성장했다.

수출도 급증한다. 지난해 동물용 의약품 수출 실적은 전년 대비 28% 성장한 2433억원이다. 세계적으로 육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가축 사육 수가 증가한다. 반려 동물 시장까지 매년 커지면서 동물용 의약품 시장도 덩달아 성장했다.

Photo Image
동물용 의약품 수출 실적

정부는 동물용 의약품 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 5월 `수출주도형 동물의약품 산업발전 대책`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국내 생산을 두 배에 가까운 1조600억원까지 늘린다. 수출액도 5억달러(약 5569억원)로 확대한다. 동물용 의약품 등 관리제도 선진화 △산업 육성 인프라 지원 △초기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수출 유망 및 미래 주도형 제품 개발을 위한 R&D 지원 △관리조직 및 업무체계 개편 등이 핵심이다.

국가 차원에서 동물용 의약품 산업 육성을 시도하면서 후속조치로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된다.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주목받는 동물용 유전자·세포치료제가 대표적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올 연말까지 `동물용 의약품 유전자치료제·세포치료제의 안전성, 유효성 심사관련 규정 및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을 만든다. 사람이 아닌 동물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 세포치료제 가이드라인은 처음이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동물용 의약품을 개발하더라도 허가를 위해서는 평가 기준이 있어야 한다”며 “사람이 아닌 동물용 유전자, 세포치료제 평가 지침은 전무한 상태라 이번에 새롭게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유전자, 세포치료제는 손상된 유전자나 세포를 건강한 물질로 교체하거나 치료하는 의약품이다. 암이나 알츠하이머 등 난치성 질환이 대상이다. 동물에도 점차 적용 중이다. 하지만 동물용 유전자, 세포치료제 평가 및 허가 기준이 없다 보니 대부분 사람에게 쓰던 의약품을 투여한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관련 지침이 생기면서 허가를 위한 행정적 근거가 마련됐다. 단순 백신에 머물렀던 국내 동물용 의약품 시장도 유전자, 줄기세포 등 고부가가치 의약품으로 업그레이드한다. 안전성, 유효성 심사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돼 효능을 높이고 오남용 우려를 줄인다.

3조원대 국내 말 산업을 장려하기 위한 의약품 개발도 시도된다. 내년 말까지 개발하는 `3차원 분화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세포치료제`는 경주마가 자주 걸리는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 의약품이다. 말 조직에서 유래한 성체줄기세포를 활용해 굴건염, 중수부 계인대염, 골절 등을 치료한다.

동물용 백신 국산화도 속도를 낸다. 상당수 백신은 국산화가 됐지만 구제역 백신 등은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 올해까지 구제역 백신 핵심 세포주(BHK-21) 배양 설비를 구축하고, 내년 생산할 방침이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구제역 백신은 유일하게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백신제제”라며 “지난해 8월 국산화를 위한 구제역백신센터를 개설했으며, 내년 시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본격화되는 국내 동물용 의약품 산업 육성은 향후 세계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중국에서 반려견을 키우는 가정은 8000만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보다 많다. 동물용 의약품 기술은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우리 기업이 진출할 기회가 많다. 국가별 법제도 동향을 파악하고, 현지 공급 모델만 확보할 경우 성공 가능성이 높다.

동물용 의약품 업계 관계자는 “국내 동물약품 업체 평균 매출액은 27억원 수준으로 영세해 해외시장 개척이 쉽지 않은 데다 국가별 허가요건도 다양하다”며 “기술 확보를 우선으로 체계적인 수출 전략까지 수립한다면 해외에서도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