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세계 2위 스마트폰 시장으로 부상한 인도시장 공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도 정부가 중고폰 수입판매 불허에 이어 애플스토어 규제완화도 거부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애플의 소매전략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애플스토어 브랜딩 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24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인도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 인도 외국인투자진흥위원회가 외국 기업이 단일 브랜드 매장을 설립할 때 제품에 자국산 부품이 30%이상 포함되야 한다는 외국인직접투자(FDI) 규정에 예외를 두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애플 아이폰은 대부분 부품을 생산기지인 중국에서 조달하기 때문에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지난 주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인도 방문도 이 방침을 바꾸지 못했다. 위원회 결정은 재무장관 승인이 필요하며 뒤집혀질 가능성도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애플은 뉴욕 5번가와 도쿄 긴자 등에 애플스토어 매장을 열어 판매를 촉진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반면 인도에서는 소규모 영세 점포에서 아이폰을 판매해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 전략에 차질을 빚었다.소비자 컨설팅 기관인 테크노팍어드바이저의 안쿠르 비센 부사장은 “애플스토어는 인도시장에서 브랜드빌딩(Brand Building) 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생생함을 느끼게 해 구입을 유도한다”고 말했다.
팀 쿡은 최근 인도 시장을 10년 전 중국시장에 비유했다. 그만큼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애플은 판매 정체로 지난 1분기에 처음으로 아이폰 판매감소를 기록했다. 반면 인도시장은 판매 증가율이 56%였다. 애플은 인도시장 공략을 위해 광고와 다양한 마케팅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처음으로 인도에서 10억달러 매출을 달성했다.
그러나 가격이 걸림돌이다. 애플 아이폰은 인도에서 고가품으로 분류된다. 인도에서 판매되는 제품 80%는 150달러 이하 제품이다. 반면 아이폰 제품 중 가장 싼 아이폰SE는 577달러에 팔린다. 인도 소비자에겐 부담스런 가격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애플은 `리퍼비시(refurbish)`폰을 들여와 판매하는 것을 인도정부에 요청했지만 인도 정부는 승인을 거부했다. 리퍼비시는 정상품의 반품 또는 반품 상품을 일부 수리한 제품이다.
인도는 인구 13억 거대시장이다. 지난해 스마트폰 판매는 29% 늘어나 총 1억대가 판매됐다. 2018년에는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의 11%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보다 5배 빠른 증가속도라고 모건스탠리는 최근 리포트에서 밝혔다. 인도 정부의 잇따른 제동으로 애플은 이같은 거대시장 공략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