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퍼니 리뷰]<24>재팬디스플레이

재팬디스플레이(JDI)는 2018년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양산한다고 밝혔다. JDI는 주력 생산기지인 지바현 모바라 공장에 500억엔(약 5000억원)을 투자해 2018년 스마트폰 5000만대 수준까지 양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OLED 선발업체 삼성디스플레이와 LG전자에 도전장을 던졌다.

Photo Image

JDI는 OLED 투자로 또 한번 승부수를 던진 셈이다. 이 회사는 영욕의 역사를 갖고 있다. 소니·도시바·히타치 LCD부문이 통합해 4년 전 2012년 4월 1일 설립됐다. 글로벌 LCD 업체 간 과도한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자 민관투자기관인 일본산업혁신기구(INCJ) 주도로 통합작업을 진행했다.

산업혁신기구는 지난 1999년에 만들어진 산업활력재생법에 근거해 일본 정부와 26개 민간기업이 힘을 합쳐 만든 기구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이 기구를 담당하고 산업구조조정과 벤처 투자 역할을 주로 하고 있다. 산업혁신기구가 나서서 마련한 구조조정의 대표적 사례가 JDI다. JDI는 현재 산업혁신기구가 35.58% 지분을 소유한 사실상 공기업이다.

합병 후 회사는 TV용 등 대형 디스플레이보다는 중소형 디스플레이에 집중했다. 결국 스마트폰 붐에 힘입어 부활에 성공했다. 애플에 아이폰·아이패드용 패널을 대량 납품하며 두드러진 매출 상승세를 보였다. 매출 약 40%가 애플에서 나온다. 아이폰과 아이패드용 패널 주문이 몰리며 성장을 견인했다. 웨어러블과 자동차, 디지털카메라, 의료기기, 산업용 분야에도 중소형 디스플레이를 공급하며 시장을 선도했다.

Photo Image

그러나 결국 아이폰 판매 부진이 발목을 잡았다. JDI는 2015회계연도(2015년 4월~2016년 3월)에 순손실이 318억엔(약 3423억원)을 기록했다. 2014회계연도에 비해 순손실이 2.5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애플 실적 하락이 주 원인이다. 다른 부품업체처럼 애플 성장세가 꺾이면서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샤프 LCD사업부를 인수해 JDI와 통합하기로 했던 일본 정부 구상도 물거품이 됐다. 대만 홍하이(폭스콘)가 샤프를 전격 인수하면서 두 회사를 합병해 `일장기 연합`을 구축하려던 그림이 어그러졌다.

결국 JDI는 OLED를 기대하고 있다. OLED는 화면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없다. 따라서 화면을 얇게 만들거나 구부릴 수 있어 유리하다. 애플이 2017년 이후 출시할 아이폰에 OLED 채택방침을 밝혔다.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디지털 제품 패널은 서서히 LCD에서 OLED로 대체될 전망이다. JDI가 아이폰 OLED 수주에 성공한다면 다시 한번 부활을 꿈꿀 수 있다.

하지만 OLED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은 미지수다. 높은 생산 기술이 요구되는데다 기술은 한국이 주도하고 있다. 현재 세계 시장 95% 이상을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장악하고 있다. 홍하이에 인수된 샤프 등 주요 패널 업체도 OLED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가능성도 있다.

[컴퍼니 리뷰]<24>재팬디스플레이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