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고민 타파를 위한 아이디어] <62> 외국인 인재가 느끼는 문화장벽, 3단계 맞춤형으로 관리하라

▲오늘의 고민

대박전자 강 사장은 미국 전자업계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외국인 인재 리처드 박사를 어렵게 영입했다. 공들여 데려온 인재인 만큼 돈도 제법 주고 여러 부분에서 배려해 줬다고 생각했는데 리처드 박사는 하소연만 한다. 긴 근로시간, 엄격한 위계질서 등 우리 기업의 업무 방식과 조직 문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겠다고. 강 사장은 리처드 박사가 이러다 퇴사하겠다는 말까지 할까 봐 걱정이다. 어렵게 뽑은 외국인 인재의 문화 벽을 줄여 주는 방법, 어디 없을까.

▲오늘의 성공스토리

Photo Image

요즘 대기업부터 중견기업까지 외국인 인재를 뽑는 데 적극이다. 실제로 한국에서 일하는 우수 외국인 인력이 점점 늘어나 이제는 2만5000명이 넘는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대다수가 한국 기업 문화와 업무 방식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결국 회사를 그만두고 고국으로 돌아가겠다는 소리까지 한다.

문화 차이는 어쩔 수 없는 거니 한국 기업은 이들을 그냥 포기해야 할까. 아니다. 3단계 맞춤형 관리로 외국인 인재의 문화 차이를 해결해 줄 수 있다.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자세히 살펴보자.

1단계. 입문교육은 외국인 인재 눈높이에 맞춰 진행하라.

Photo Image

그들 문화와의 다름을 이해하고 핵심가치, 기업문화 등을 차근차근 친절하게 소개해 준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토요타가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 매년 우수 외국인 인력 약 120명을 선발해 본사 교육기관인 토요타 인스티튜트에서 2주 동안 합숙교육을 진행한다. 이때 문화 통역자 역할을 가진 전담 인력을 투입한다. 이들의 역할은 문화 차이로 인해 회사의 핵심 가치나 문화 등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외국인에게 1대 1로 붙어 자세한 설명을 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웬만한 건 알아서 판단하고 결정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외국인 인재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에게 “토요타가 정한 매뉴얼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최우선시해야 한다”는 지식형 교육이 이뤄지면 어떨까. 아마도 왜 그래야 하는지 쉽게 납득이 안 갈 것이다. 그때 그는 자신의 전담 문화 통역자에게 이에 대해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직원은 일본 특유의 문화와 조직 구조 등을 설명, 외국인이 이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토요타는 이를 통해 외국인 인재가 입사 시 겪는 문화 충격과 당혹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2단계. 이제 막 회사 생활을 시작하는 외국인 인재는 끼리끼리 모아 줘라.

Photo Image

미국 조직문화 전문가인 마이클 셸은 저서 `Managing Across Cultures`에서 “외국인 인재가 다른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평균 1년 이상 안정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그들에게 다른 외국인 직원과 함께 어울려 다니면서 서로 어려운 점도 하소연하고 배우기도 할 수 있는, 1년 정도 적응력을 키울 수 있는 시간을 줘야 한다고. 삼성은 아예 외국인 인재로만 구성된 팀을 별도로 만들었다. 삼성은 외국인 인재를 적극 선발하기 시작했을 당시 상급자의 영어 실력 부족으로 그들의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거나 그들이 한국인 동료와 잘 어울리지 못해 이직률이 매우 높다는 문제에 봉착했다. 이건희 회장은 1997년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글로벌전략그룹을 만들었다. 외국인 직원 가운데 핵심 인재라고 판단되는 사람을 부서에 배치시켜 해외시장 조사, 해외 진출 등 사내컨설팅 업무를 맡겼다. 2년 정도 이 부서에서 근무한 외국인은 국내 기능별 부서로 재배치했다. 이를 통해 외국인 인재는 언어 및 문화 차이를 수월하게 극복했고, 삼성은 처음부터 이들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돼 서로 윈-윈할 수 있었다.

3단계. 현업에서도 잘 적응하도록 지속해서 팔로업하라.

Photo Image

현업에 투입돼 일을 본격 시작하는 외국인 인재는 실제로 얼마나 우리 문화를 잘 받아들이고 극복하고 있는지 지속해서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 글로벌 보험사 푸르덴셜이 대표 사례다. 푸르덴셜은 기업 내에 글로벌 인재관리 전담 조직인 `다문화 그룹`을 만들어 외국인 인재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 이(異)문화 적응 진단 툴인 `Overseas Assignment Inventory(OAI)`를 활용, 문화 적응 정도를 객관화해 파악하고 있다. 이 툴은 외국인 직원 개개인이 △문화 차이를 얼마나 인지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 △이문화에 대한 지식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 등을 객관화한 지표로 보여 주고, 전담 조직에서는 이를 토대로 개개인에 꼭 맞는 훈련 및 적응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문화 이해가 덜 된 사람에게는 문화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교육, 지식은 많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는 워크숍을 통해 업무 방식을 익히는 교육을 각각 진행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를 도입한 이후 외국 인재의 회사와 업무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가 90% 수준으로 크게 올랐다.

▲오늘의 아이디어

혹시 여러분도 우리에게 큰 보탬이 되어 줄 것만 같던 외국인 인재가 회사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고민인가. 그렇다면 문화 차이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세 가지 단계로 관리해 보자. 한국인의 정신이 담긴 외국인 인재로 거듭나 오랫동안 여러분의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줄 것이다.

정리=배윤정 IGM 글로벌 비즈킷 해외사업본부 연구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