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빗장 열린 공공 클라우드 시장…확산 전략이 필요하다

Photo Image

올 추석이 지나면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클라우드 발전법)’이 시행된다. 지금까지 규제로 가로막혀 있던 공공 클라우드 시장이 빗장을 푸는 셈이다. 업계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특히 소프트웨어(SW)업계는 목을 빼고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기다린다. 공공사업에서 쌓은 레퍼런스를 민간시장에서 마케팅에 활용하려는 업계 특성 때문이다.

클라우드 발전법이 만들어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클라우드 발전법 시행으로 정부와 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다. 이 혜택은 이용자와 정보기술(IT) 기업에 돌아간다. 중소 SW기업에 기회가 찾아온 셈이다. 그만큼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대응하는 SW 업계 전략이 중요하게 다가온다.

◇“클라우드 투자 확대가 공공 IT예산 절감 방안”

미국은 지난 2010년부터 공공 클라우드 도입을 가시화했다. 기존 2000여개 데이터센터를 올해까지 800여개로 줄인다. 운영 비용을 40%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 연방 정부기관 공통 클라우드 기반 메일 서비스를 도입하고 정부 조달사이트에서 클라우드 IT서비스를 제공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IT예산 가운데 2% 수준만 클라우드에 투자하지만 관련예산 증가세는 가파르다. 2012년 3억700만달러에서 작년 5억2900만달러로 72% 증가했다.

영국은 2011년 정부 클라우드 전략인 ‘G클라우드’를 수립했다. 정부기관이 클라우드를 도입해 2009년 76억파운드(약 13조1900억원) 수준이던 IT 지출을 올해까지 1억2000만파운드(약 2000억원)까지 줄인다. 토니 싱글턴 영국 정부디지털서비스(GDS) 최고책임자는 “일부 기관이 G클라우드 시스템으로 50% 이상 비용을 절감했다”고 밝힌 바 있다.

클라우드 선진국인 미국·영국이 추구하는 목표는 비용절감이었다. 빌려 쓰는 IT로 인프라 구축비용과 유지 보수비용을 줄인다.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한다는 클라우드 장점을 최대한 활용했다.

업계에서는 우리 정부도 비용절감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송희경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은 “IT 인프라 투자비용 등 정부가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면 연구개발(R&D) 등 미래 시대를 준비하는 데 투자할 수 있다”며 “결국 기술발전과 경제성장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갖추게 된다”고 강조했다.

◇늘어난 클라우드 예산…“시범 사업 확대가 관건”

미래창조과학부 내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공공기관 클라우드 시범사업 가운데 서비스 도입에 약 10억원을 투자한다. 전체 클라우드 예산 중 일부에 불과하지만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행정자치부 등 관계부처까지 클라우드 도입에 들어가면 전체 사업 규모는 확대될 전망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 예산은 45억원으로 추가됐다. 시작 단계지만 클라우드 발전법 시행과 함께 시장 확산을 위한 마중물 역할이 기대된다.

업계도 같은 시장 접근법을 이야기한다. 시범 사업 등으로 공공 클라우드 활용 사례가 많아지면 그만큼 클라우드 관련 업계가 참여할 기회도 늘어난다. 공공 프로젝트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게 핵심 논리다. 지금까지 활성화하지 못한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을 갖추는 계기가 된다.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는 클라우드 업계를 대상으로 한 산업 발전 애로사항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협회 관계자는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확산을 위한 제도와 시범사업 확대’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목됐다”고 밝혔다. 국내 클라우드 관련 기업 대부분이 시범사업 참여에 눈독을 들인다.

◇SaaS·PaaS·IaaS…핵심 분야는 어디

클라우드 시장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서비스형 플랫폼(PaaS)·서비스형 인프라(IaaS)로 구분한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해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IaaS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가 중심이다. 더존비즈온 등 일부 SW 기업도 참여한다.

그러나 아마존웹서비스(AWS)·마이크로소프트(MS)·구글·오라클 등 다국적기업이 이미 시장을 잠식했다는 평가다.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다국적기업 공세에 IaaS 시장은 국내 기업이 날개를 펴기 쉽지 않다.

KT 관계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가격을 지속적으로 인하하는 다국적 기업과 경쟁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브랜드 인지도도 국내 기업이 IaaS 사업을 풀어나가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KT는 이달 클라우드 신뢰도를 99.95%까지 올렸다. 올해까지 99.99%를 확보하는 등 안정성 보장에 노력하지만 IaaS 시장 주도권을 잡을지는 미지수다. PaaS 시장도 MS·구글·IBM 공세를 따라가지 못하는 모양새다.

SaaS는 상황이 다르다. 상용SW 기업 가운데 많은 수가 자사 제품을 SaaS로 전환해 공급하기 시작했다. 가격 정책도 구축비용과 유지보수가 아닌, 사용한 만큼 혹은 월·연간 단위로 지불하는 서브스크립션 모델을 도입한다. 클라우드 발전법 시행으로 공공에서도 SaaS는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부터 전사자원관리(ERP), 오피스 등 운용체계(OS)를 제외한 대부분 SW를 공공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하반기 전자정부 지원사업으로 오피스 SW를 클라우드로 활용하는 시범 사업이 있어 시장 확대가 점쳐진다.

<주요국 클라우드 활성화와 정보보호 정책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주요국 클라우드 활성화와 정보보호 정책 (자료:미래창조과학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목적(단위:%) (자료: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4)>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목적(단위:%) (자료: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4)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