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바이오]지역별 대형병원 쏠림현상, 빅데이터 기반 헬스맵으로 해결한다

#전라북도 장수군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감기에 걸렸을 때 지역 보건소를 방문한다. 골절을 입었거나 수술을 받으려고 할 때는 전주에 있는 병원을 방문한다. 암 등 중증 질환에 걸렸을 때는 서울에 있는 대형병원을 방문한다. 이러한 장수군민의 증상별 의료기관 이용형태를 분석, 이동경로를 지도로 보여준다. 장수군뿐만 아니라 전국 대상으로 지역 주민 증상별 의료기관 이용형태에 따른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미국 보스턴아동병원이 2006년 처음 구축한 ‘헬스맵’과 동일한 환자의료이용지도가 구축된다. 한국판 헬스맵이 구축되면 전국 국민이 증상에 따른 의료기관 이용형태를 지도로 파악할 수 있다. 보건복지 당국은 이를 활용, 지역별 대형병원 쏠림 현상 등 의료자원의 지역 간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

◇지역 간 의료자원 불균형 심각

국내 지역 간 의료자원 불균형 현상은 심각하다. 국립중앙의료원의 지역별 의료실태 분석 결과 지역별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시와 구는 404.9명이지만 군 지역은 452명으로 높다. 농어촌지역이 많은 군 지역이 도시보다 사망률이 12% 높은 것이다.

시·군 별로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은 경기도 과천시가 253.3명으로 가장 낮고 이어 서울 강남구, 서초구 순이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 태백시로 10만명당 580.2명이다. 경북 칠곡군과 충북 옥천군이 뒤를 이었다.

진료권 제도가 없어지면서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 자유는 보장됐지만 의료자원의 지역 간 불균형은 여전하다. 서울 등 대도시 중심으로 대형병원이 집중돼 거리가 먼 중소도시나 군 지역에서는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다. 의료기관 경쟁 심화 등 의료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이 이러한 문제를 초래했다. 각종 정책연구에서 활용하는 행정구역 단위 분석은 실제 의료서비스 이용 패턴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의료기관 관계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환자 의료이용과 의료자원의 지역적 분포, 교통 인프라 등을 고려한 공간적 이동행태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건강보험 빅데이터 활용, 지도 구축

정부는 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 의료이용과 공급 등 각종 데이터 분석을 실시한다. 지역 간 의료자원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 수립이 목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올해 말까지 ‘헬스맵 서비스를 위한 환자 의료이용지도 구축’ 연구를 진행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올해까지 연구 용역과제를 진행, 구체적 구축 방안을 마련한 후 이르면 내년이나 내후년 본 사업을 시작한다”고 말했다.

먼저 환자 거주지와 의료기관까지의 이동거리를 산출, 환자 의료이용 지도를 구축한다. 이를 기반으로 세부과제별 연구과제를 분석할 계획이다. 환자 의료이용지도 구축 대상 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등 일차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경증 질환 △허혈성심질환, 뇌졸중, 암 등 중증질환 △산부인과, 소아과, 장기요양기관, 지역사회 재활기관 등 의료자원 분포의 지역적 불균형이 문제되는 취약 질환 등이다.

의료이용 형태는 입원과 외래, 응급실 이용이다. 의료 기관 종류와 입원일수 및 외래방문 건수, 진료비 등 정보도 활용한다. 환자의 성·연령·소득수준 등 환자 정보와 거주지역 내 의료자원 분포, 거주지 특성 정보도 분석 대상이다. 분석된 결과 기반으로 병상수급 계획과 상급종합병원 허가 등 보건의료 정책에 지속적으로 활용한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