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조직이든 인사가 끝나면 ‘모두가 만족하는 인사는 어렵다’는 말이 나오기 마련이다. 최근 고위공무원 인사를 단행한 미래창조과학부 역시 이런 말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 같다. 부처 안팎의 설왕설래가 그렇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09/601493_20140902200014_868_0001.jpg)
미래부는 최근 실국장급 인사를 단행했다. 아직 일부 자리가 확정되지 않은 곳도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실국장 자리의 절반 정도가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공무원을 내려놓고 사직한 사람도 있고, 파견으로 본부를 떠난 사람도 있다. 떠난 자리를 채우기 위해 돌아오는 사람도 있다.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부처의 인사 풍경이다.
하지만 인사 내용을 두고 과학계에서 아쉬운 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인사에서 전 교육과학기술부 출신보다 구 방송통신위원회 출신이 더 중용된 게 아니냐는 분위기다.
미래부 한 직원은 “한 부처로 합쳐진 상황에서 교과부 출신, 방통위 출신으로 구분하기보다 화학적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좋다”면서 “하지만 이번 인사에서 주요 보직자를 보면 과학쪽이 조금 소외된 것도 사실”이라고 아쉬움을 전했다.
미래부는 이전 정부의 교과부와 방통위가 합쳐져 탄생했다. 한 부처로의 화학적 결합을 위해 구성원간 교차 인사도 실시했다.
하지만 어느 부처 출신이라는 꼬리표는 단기간에 사라지지 않는 법이다. 융합이 완전히 이뤄지려면 불가피하게 시간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시간과 함께 구성원 모두가 동등하다는 인식도 필요하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다른 쪽에 대한 반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이번 인사는 안배와 배려가 필요했지 않았느냐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 같다.
미래부가 더욱 잘 융합할 수 있도록 모두가 만족할 수는 없겠지만, 아쉬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심한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