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칼럼]한국형 창조경제의 꽃, 스마트카

Photo Image

세계 자동차산업계에 스마트카 경쟁이 뜨겁게 번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미래 자동차산업 선도국가로 우뚝 서려면 전자화 및 지능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이 요구하는 안전과 편의를 극대화하고 연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무궁무진한 신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카 산업 발전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카 기술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카 산업이 요구하는 기술 및 사업 모델 개발과 산업 생태계 육성을 서둘러야 한다.

스마트카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자동차와 정보기술(IT) 융합이라는 단순 논리보다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첫째, 자동차의 안전과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한 스마트 커넥티드 드라이브다. 자동차 지능화 및 전자화, 차내 및 차간 커넥티비티를 통해 주행과 주차 중 사고를 예방 또는 최소화하고 최상의 편의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자율주행을 추구한다.

둘째, 자동차와 정보통신, 콘텐츠, 앱, 서비스, 에너지 등 주변 산업과의 융합으로 대규모의 새로운 산업 및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스마트 커넥티드 서비스다. 이 두 접근 방향에서 서로 공통점도 있으나 상이한 핵심 성공요소와 우리의 강약점을 고려한 이원적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먼저, 스마트 커넥티드 드라이브는 기술개발 전략이 핵심이다. 우리나라가 IT 강국이니 IT 융합으로 스마트카도 잘할 것이라는 오해가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다. 100만분의 1의 안전상 오류도 용납되지 않는 자동차 산업 특성을 너무 간과한 것이다. 스마트카의 핵심이 되고 있는 자동차용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시스템반도체 등은 기본적으로 자동차 제어기술을 토대로 하고 있어서 IT만으로는 어림없고 아직 우리나라가 많이 부족한 첨단 자동차 전자제어기술 개발이 필수다. 이러한 올바른 상황인식 하에 현재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자동차 전자제어기술, 특히 자동차 제어 알고리즘 및 데이터베이스, 전기·전자 아키텍처, 네트워크 및 통신, 센서, ECU,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자동차 완성차 및 부품업계는 자체 R&D 투자와 함께 대학 및 출연연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IT 업계와의 공동개발도 과감히 확대해야 한다. 정부도 R&D 예산 확대로 이를 지원해야 한다. 최근 대기업형 산업이라는 이유로 정부 R&D 투자가 축소되고 있는 것은 그릇된 상황인식에 따른 오류로 시급히 시정돼야 한다.

스마트 커넥티드 드라이브 기술은 대기업인 자동차 완성차기업의 역할 못지않게 수많은 중소·중견 부품기업, 대학 및 출연연의 역할이 중요하다. 국내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기술력을 세계 수준으로 올리고 70~80%를 상회하는 핵심 부품 및 기술 해외의존도를 지속적으로 낮춰가기 위한 유기적 협력이 시급하다. 이를 통해 거대한 글로벌 자동차 완성차 및 부품 산업에 대규모 미래 먹거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스마트 커넥티드 서비스는 기술개발도 중요하나 사업모델 개발과 생태계 육성이 핵심이다. 안전성 요구수준이 상대적으로 덜한 이 방향에서는 세계 수준의 우리나라 IT가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기존 IT를 바탕으로 차내 및 차간 커넥티비티, 네트워크,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핵심기술 개발 및 자동차기술과의 접목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모델 개발이 핵심 성공요소다.

클라우드 기반의 정보, 보험, 광고 및 커머스, 진단, 분석 등 각종 서비스, 다양한 컨텐츠 및 앱 서비스, LBS 등 위치 기반 서비스, 카셰어링 등 공유 서비스, V2G·V2H 등 에너지융합 서비스, V2X 기반의 안전 및 편의 서비스 등 많은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이 중요하다. 이와 함께 이같은 사업모델을 구현할 새로운 생태계 육성도 시급하다.

정부는 자동차 완성차 및 부품기업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 산업 생태계,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 CPND 기업을 중심으로 한 IT산업 생태계, 에너지 및 서비스 산업 생태계 등 이종 산업 생태계가 협력하고 융합하도록 유도 및 지원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조기에 새로운 사업모델의 성공사례를 구축하고 이를 세계시장에 전파함으로써 스마트 커넥티드 서비스 산업의 글로벌화를 통한 대규모 성장동력 창출이 가능해질 것이다.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스마트카 강국으로 한국형 창조경제의 대표적 성공모델이 되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주영섭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ysjoo@snu.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