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을 위해 양질의 데이터 수집과 이를 분석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및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자신문이 창간 42주년을 맞아 마련한 'AI 강국 도약방안 좌담회' 참석자들은 한국이 지금과는 다른 AI 데이터 접근법과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빅테크들의 경우, 학습에 활용한 데이터 출처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빠르게 기술을 먼저 획득한 이후, 저작권 분쟁에 대해서는 후에 정리하려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이들이 향후 후발주자를 향해 '사다리 걷어차기'를 할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I 학습에 이용되는 데이터, 저작권을 둘러싼 갈등은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말 미국에서는 뉴욕타임스(NYT)가 AI 챗봇이 저작권을 침해했다며 개발사인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를 고소했다. 올해는 미국 작가들이 오픈AI, MS, 메타, 미드저니 등을 상대로 저작권 소송을 진행하기도 했다. 미국 저작권청(USCO)은 올해 안에 AI 학습에 사용한 콘텐츠 보상 가이드 라인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AI 기업들은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콘텐츠에 저작권 비용을 일일이 지불하게 되면, 데이터의 양이 너무 많아 기술 개발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성 총괄은 “자국 데이터가 타국 기업에 활용되는 것에는 권리를 주장하고, AI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는 국가들이 용인해 주는 데이터 활용 범위를 자국 기업에 허용하는 '국가 AI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AI 자체 보유를 고려하지 않는 국가들의 규제를 따르는 것은 피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최지희 시스코코리아 대표는 “데이터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려면 인프라와 데이터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고, GPU를 포함한 고성능 컴퓨팅 자원, 클라우드 인프라, 높은 전력 수요를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 등을 확충하고 인프라를 강화해 데이터 처리와 분석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인프라와 데이터 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해선 글로벌 사업자 및 연구 기관과 교류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며 “데이터 과학자, 분석가, 엔지니어 등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한국은 디지털화가 잘 돼 있는 편이지만 데이터를 활용하고, AI를 만들고, AI를 운영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모든 일련의 과정을 기업 내부적으로 하려다 보니 속도가 더딜 수 밖에 없다”라며 “AI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데이터는 물론 매우 복잡한 운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지형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대표는 “우리는 개인정보보호법이 좀 강한 편”이라며 “자율주행에 있어서 가장 앞서가고 강력한 데이터를 가진 국가 1순위는 중국으로, 우리도 일정수준 이상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