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국정 운영에 획기적 변화 있어야

지역 일꾼을 뽑는 6·4 지방선거가 막을 내렸다. 지난 2주 선거운동 기간 동안 지역 후보들은 지역 정서를 반영한 다양한 공약을 앞세워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해 치열한 선거전을 펼쳤다.

이번 선거의 특징은 차기 대선주자급 후보가 대거 나섰다는 점이다. 사실상 2017년 대선 예선전이나 다름 없었다. 여야 대선 주자들은 선거 결과로 도약과 추락의 갈림길에 섰다. 당선자는 지자체 수장으로 앞으로 대선 주자의 능력과 자격을 갖췄는지 검증 받는다. 낙선자는 재기를 노리겠지만 상황이 힘들어졌다.

이번 선거는 정책이 실종된 선거였다. 세월호 참사가 선거 블랙홀이 됐다. 정책, 인물, 공약은 물론이고 선거 자체가 국민의 관심 대상에서 멀어졌다. 또 각 당의 경선 일정이 늦어져 후보 선정이 지연되면서 준비가 덜 된 탓에 네거티브도 난무했다. 과거와 다른 선거를 기대했던 유권자에게 실망스러운 모습을 또 한 번 보여줬다.

어쨌든 유권자들은 표로 말했다. 정치권은 민심의 냉엄한 심판을 받았다. 이번 선거는 세월호 참사로 추동력이 약화된 국정운영이 다시 탄력을 받느냐, 아니면 무기력한 상황이 이어지느냐를 가를 분수령이었다. 여야는 선거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선거를 통해 드러난 민심을 살피고 정책 실행에 매진해야 한다.

청와대는 총리 임명과 개각을 서둘러야 한다. 여야 가리지 않고 그동안 ‘만기친람’과 ‘불통’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이다. 여기에 획기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 모든 일을 혼자 챙기는 듯한 모습보다는 책임 총리와 책임장관제를 구현함으로써 권한과 책임을 확실히 나눠야 한다. 그래야 남은 임기 3년 9개월 동안 정치권과 협력해 국정개혁을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다.

지방선거 당선자는 공약을 차질 없이 수행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거듭 언급했던 안전 강화는 물론이고 일자리 창출과 같은 실물 경제 공약을 제대로 실행해야 한다. 아무리 ‘깜깜이 선거’였다고 해도 공약 이행 여부까지 유권자가 눈을 감지 않는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