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이후 남북 경제통합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파이낸싱 기반 금융 연구는 전무합니다. 북한개발연구센터는 금융 분야에 초점을 맞춘 연구 허브로 운용하되, 한발 더 나아가 동북아 개발협력 연구도 담당할 계획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 산하 북한개발연구센터가 최근 개소했다. 초대 소장인 조동호(이화여대·북한학과) 교수는 “남북 경제통합에 대비한 파이낸싱 기반 연구를 강화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조 소장은 “남북 경제통합에는 많은 자금이 들어갈 수밖에 없고 자금 조달은 물론이고 장기적인 금융체계 개편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에 집중하는 1호 연구센터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협력기금과 개도국 대상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운용 주체인 수출입은행의 노하우와 센터의 연구역량을 결합한다면 통일시대에 대비한 금융협력 체계 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센터는 앞으로 남북 경제협력 활성화와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 지원, 남북한 경제통합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북정책에 대한 제언을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나진-하산 개발사업 등 통일 기반 조성사업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제시하고 북한 및 동북아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동북아지역의 다자간 금융협력 체계 구축 방안을 강구하는 등 통일시대를 대비한 밑돌을 쌓는데 힘을 모을 계획이다.
최근 통일 경제론이 회자되면서 많은 연구기관이 통일시대와 관련한 연구를 경쟁적으로 시작했다. 중복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다.
이에 대해 조 소장은 “통일시대를 대비한 북한 연구는 오히려 많은 기관이 경쟁적으로 참여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며 “정책연구는 여러 아이디어가 나오는 환경일 때에만 빛을 발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산업은행, 정책금융공사, 한국은행, 금융연구원 등 많은 기관이 북한과 관련된 연구를 시작하자 언론이 과열경쟁이라는 엉터리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며 “휴대폰을 제조사 한 곳에서 만드는 것과 여러 제조사가 경쟁하면서 만드는 것 중 어떤 것이 소비자에게 효과적일까 생각하면 답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많은 연구기관이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정책연구를 하고 협업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조 소장은 “통일 이후 북한은 우리 기업에 많은 기회요인을 제공하겠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정치 리스크가 크고 민간 투자를 통해 수익을 바라보기는 힘든 상황”이라면서 “다만 통일 이후 북한은 인프라와 시설, 기간사업의 기회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많은 비즈니스 기회가 생길 것은 자명하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센터 운영에 대해 그는 “명칭은 북한연구개발센터지만, 북한 연구에만 초점을 맞추진 않을 것”이라며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시장에 초점을 맞춰 대한민국의 신성장동력을 찾는 ‘나침반’ 역할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 사진=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