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아이디어와 일자리를 잇다]<2>특허 정보로 정부 3.0과 창조경제 실현

#연차료 납부 등 지식재산권 관리 전문업체는 특허청 오픈 API 기반 특허정보서비스인 `키프리스 플러스(KIPRIS plus)`와 연계해 최신 상표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데이터 검색·조회 기능을 통한 상표검색과 연차료 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고객 연차료 관리를 수행한다.

#특허가치평가 서비스업체는 키프리스 플러스를 통해 수집된 해외 특허정보와 거래·소송정보를 결합한 분석 모듈로 특허 가치평가 시스템을 구축했다. 특허 위험 관리와 소송 동향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부 3.0이 화제다. 정부 중심의 일방향에서 벗어나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로 국민 참여가 극대화된 개방형 정부시스템은 지식재산(IP) 업계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개방형 IP정보를 활용해 특허 기술동향조사, 특허분쟁 예측 등 새로운 정보 서비스 산업을 창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개발(R&D) 성과물인 특허를 출원·등록하기 위해서는 선행기술 조사가 필요하다. 발명자가 낸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이미 있는 것이라면 특허 침해 등 분쟁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산·학·연 R&D 현장에서는 특허 정보를 활용해 세계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R&D를 기획한다. 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특허 정보를 빼놓을 수 없다.

지금까지는 산·학·연에서 특허 동향을 점검하고 R&D에 활용하는데 그쳤다. 우리 특허청이 보급하는 특허 관련 정보는 8종으로 유럽 17종, 일본 12종, 미국 10종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다. IP 정보서비스기업이 특허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청에서 보급하는 IP 정보형태가 생산시기별과 종류별로 다르고 오류도 많았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이에 특허청은 지난 6월 `특허정보 전면 개방으로 정부 3.0과 창조경제를 견인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재산권 공보, 특허 영문초록 등 8종에 불과했던 IP 서비스를 2017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인 18종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특허청이 제공하는 IP정보서비스는 `키프리스 플러스(KIPRIS plus)`로 제공된다. 이는 별도의 DB 구축없이 특허청이 보유한 모든 특허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오픈 API기반 웹서비스다. 민간기업과 대학·연구소, IP정보서비스 업체 등이 국내 특허 데이터 1억1400만 건, 해외 데이터 1억200만 건 정보를 제공한다.

특허정보업체 등 서비스 이용 기업은 용도에 맞춰 특허정보 컴포넌트 모듈을 선별·조합할 수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개발한 서비스를 타인에게 유료로 제공하거나 특허 관리 프로그램 등과 결합해 활용할 수 있다.

최근 특허청을 중심으로 키프리스 플러스를 활용한 창조경제와 정부 3.0 구현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허청은 “특허 정보 제공은 특허기술동향조사 등 IP권 정보 분석 분야와 연계돼 우수 특허기술을 재생산하는 선순환 고리 출발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정부3.0 정책으로 공공 정보의 대민공개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기에 키프리스 플러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다양화하고 품질 향상으로 새로운 수요 창출과 산업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특허청은 시소러스·기한정보 등 5종 신규 정보 상품을 올해 개발해 보급했다. 특허패밀리정보, 법적상태정보 등 다양한 특허 정보를 제공하는 미국·유럽 등 주요국 특허청 보급 수준을 뛰어넘는 특허 정보 제공을 계획하고 있다.

<주요국 특허청 지재권 데이터 보급 현황>

주요국 특허청 지재권 데이터 보급 현황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