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고 효과있는 신의료기술 도입 빨라진다

의료기기업계가 손톱 밑 가시로 지목해온 의료 기술 임상 현장 도입 시기가 빨라진다. 품목 허가와 신의료기술 평가를 동시에 진행해 임상 현장 도입을 6개월 이상 단축하는 서비스가 시작된다. 보건복지부는 11월부터 `신의료 기술평가 원스톱 서비스` 시범 사업을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업계 의견을 적극 반영해 품목허가·신의료기술평가를 함께 실시해 급여 결정 후 임상 현장에 도입하는 방식이다. 다음달 4일부터 한달간 시범 사업에 들어간다.

지금까지 새로운 의료 기술이 현장에서 활용되려면 △해당 기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기 품목 허가 완료(식약처) △의료기술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한국보건의료연구원) △요양 급여 결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야했다. 의료기술이 늦게 도입되고 의료기기 업계가 불편을 호소했다.

신의료기술평가 원스톱 서비스는 식약처와 보건의료연구원에서 수행하는 절차를 함께 진행해 기술 도입 시기를 줄이는 방식이다. 신청 대상은 인〃허가 심사를 신청하는 의료기기(치료재료 포함)와 이를 사용하는 새로운 의료 기술이다. 식약처에 의료기기 품목허가 신청 접수 시 신의료기술평가 원스톱 서비스를 희망하는 신청자에 한해 실시된다.

서비스는 보건복지부,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연구원이 정부3.0 정책 일환으로 관계 부처와 공공기관 간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긴밀한 협의를 통해 추진했다. 시범 사업 절차 진행 시에도 실무협의체를 통해 사업대상을 선정하고 진행상황을 적극적으로 공유, 협업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