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과 소재의 만남]희소금속

희소금속(희토류)이 전 세계 국가와 산업 경쟁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급부상했다. 에너지와 식량의 안보 무기화에 이어 희소금속까지 현재 세계는 자원전쟁의 시대다.

Photo Image
김택수 생기원 희소금속산업진흥본부장이 21일 재료연구소에서 세계 희소금속의 생산과 공급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1일 재료연구소 소재융합 세미나에서 김택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희소금속산업진흥본부장은 아프리카의 희토류 자원 분쟁을 사례로 들며 “희소금속의 희소성, 경제성 등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생산과 확보 과정에서 나타나는 분쟁, 인권 유린 등 사회적, 지구 환경적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희소금속은 매장량이 적은 금속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특정 국가에 편중돼 있다거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가치가 높은 금속도 희소금속에 포함된다.

산업계는 물론이고 국가 차원에서 희소금속이 이슈로 떠오른 배경에는 생산의 70%를 중국이 독점하고 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희소금속의 독점적 생산을 기반으로 중국 내 희소금속을 이용한 제품 생산량 또한 최근 70%에 육박하고 있다. 글로벌 제조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이유로 앞다퉈 중국에서 생산된 희소금속을 이용해 중국 현지 제품 생산을 강화한 결과다.

희소금속의 가치가 고공행진을 벌이자 최근 중국 정부는 3000~4000개로 추정되던 희소금속 생산 공장을 15개로 통폐합해 가격 등 정부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김 본부장은 “앞으로 10년 후 희소금속의 수요 공급 상황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의 희소금속이 10년, 20년 후에도 계속 희소금속의 지위를 유지할 것인지는 의문이라는 얘기다. 또 그는 “희소 경금속보다는 희소 중금속에 대한 관심과 대체재 개발이 보다 중요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희소금속의 희소성에 대한 대처 방안은 원재료 확보 하나만으로는 부족하다. 김 본부장은 “희소금속원의 개발과 조달은 물론이고 희토류 가공, 희소금속 재활용, 대체재 R&D까지 전 방위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재료연구소의 소재융합 기술도 그 일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희소금속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희소금속 재활용과 대체재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희소금속의 생산량 등 수요 공급의 변화, 희소금속 생산 국가와 기업의 대처 계획을 면밀히 검토해 중장기 희소금속 발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