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 소홍섭교수침, 항암제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물질 규명

국내 연구진이 신장독성을 완화하면서도 항암효과는 떨어뜨리지 않는 `항암제 부작용 제어 후보물질`을 규명했다. 이 물질은 암조직 성장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항암 화학요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완화는 물론이고 암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와 완치율 증대까지 기대된다.

Photo Image
소교수

원광대학교 대사기능제어연구센터의 소홍섭 교수와 오기수 박사 등이 현재 항암제로 널리 사용되는 `시스플라틴`의 부작용인 신장독성을 완화하면서도 항암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항암제 부작용 제어 후보물질을 규명했다고 미래창조과학부가 1일 밝혔다.

시스플라틴은 80% 이상의 고형암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항암제이나 신장독성, 이독성, 신경독성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암 치료를 위해 투여한 약물이 암조직 이외의 정상조직에도 작용한 결과로, 최근 이런 부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물질을 찾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으나 대개 항암제의 항암능력도 함께 저하시켜 별다른 소득을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연구팀이 찾아낸 후보물질은 종양성장억제 물질로 알려져 민간요법에 많이 이용되는 천연물질 `베타-라파촌`(β-Lapachone)이다. 베타-라파촌은 남미에서 자생하는 라파초 나무에서 분리된 생리활성물질로, 연구팀은 이 물질이 세포 내 독성물질 저해 단백질인 NQO1을 활성화시킨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에 착수했다.

미래부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의 결과 보고서는 국제 학술지 `키드니 인터내셔널(Kidney International)` 온라인판에 실렸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