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강국 기술대국]<기고> 뇌 활동 측정, 마음을 읽다!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 자살, 스트레스, 우울증, 그리고 게임중독.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일까. 하나같이 개인의 차원을 넘어 공동체적 관점에서 다뤄야하고 관리되어야 하는 심각한 사회적 질환이라는 점이다. 사람의 신체 중 뇌와 연관되어 있다. 뇌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뇌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라는 것이다.

Photo Image

인간의 뇌는 1000억개 이상의 신경세포로 구성되고 이들 신경세포는 다시 각각 수천개의 신경연접을 맺어 정보를 교환한다. 복잡한 뇌신경 세포 간 정보교환은 궁극적으로 우리 마음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신경세포의 활성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은 사람의 마음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게 한다. 사람의 복잡한 마음을 모두 이해하는 것은 아직은 난망한 일이지만 비정상적인 뇌 활동을 파악해 뇌질환을 진단, 예방하는 것은 그리 먼 일이 아니다.

현재 국내외 많은 뇌과학자는 미묘한 뇌 활성 변화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MRI를 기반으로 하는 뇌 활성 측정은 이미 마케팅 등에 활용되고 향후 뇌 활성 측정은 거짓말탐지기, 설문조사 등을 대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학생의 학습효과 측정 등 교육 분야에도 활발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의 자율성과 개인정보보호 등 법적 또는 윤리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하겠지만 경제, 교육, 법률, 군사 등 많은 분야에서 그야말로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될 것이 분명하다.

2013년 미국 오바마정부는 새로운 뇌 활동 측정기술 개발을 골자로 하는 `브레인 이니셔티브(Brain initiative)`라는 10년짜리 장기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다양한 두뇌활동에 따라 뇌 부위별로 활성화 정도를 측정해 뇌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다. 유럽연합 역시 2013년부터 10년간 약 1조7000억원의 예산을 뇌 연구에 투자한다. 바야흐로 뇌지도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에 한층 속도가 붙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팔을 걷어 붙이고 나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치매질환 조기진단을 목표로 하는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 사업을 2013년 시범실시한 뒤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MRI 등 뇌영상 기술로 얻어진 뇌 활성 정보와 혈액 및 유전자 정보를 통합해 치매 조기진단 및 예측기술 기반 의료서비스 체계 구축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 각국이 뇌과학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뇌 분야가 아직까지 미지의 프런티어 영역인데다, 기초·원천기술을 확보하면 엄청난 규모의 새로운 시장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뇌연구 분야를 주도하는 것이야말로 미래를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뇌과학 분야에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이유다.

선웅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교수 woongsun@korea.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