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용 디지털레이더 국산화 쾌거]대한민국 스마트십 경쟁력 레벨 `업`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SSPA와 마그네트론 방식의 레이더 비교

전 세계 바다를 항해하는 대형 선박의 40%는 `메이드 인 코리아`다. 조선업의 성장은 조선기자재 기술 개발을 유도했고, 현재 조선 기자재의 국산화율은 70%를 넘어서고 있다.

[선박용 디지털레이더 국산화 쾌거]대한민국 스마트십 경쟁력 레벨 `업`
Photo Image

하지만 선박 조종실 내 항해통신장비 등 핵심 IT기자재와 크루즈선 등 고가 선박의 기자재는 여전히 유럽 및 일본 제품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레이더는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핵심 IT장비. 연안 어선 등에 사용하는 소형 레이더는 대부분 국산화됐지만 컨테이너선 등 상선용 대형 레이더는 전부 외산이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대형 레이더 분야의 취약한 기술력은 고부가가치 IT기자재 국산화에 걸림돌이 돼 왔다. 정부 지원 아래 대형 조선사와 정부출연기관, 중소 IT기업이 손잡고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근거리·원거리 레이더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이하 선박용 디지털레이더)`에 착수한 배경이다.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으로 3년간 104억원을 투입해 개발 완료한 선박용 디지털레이더시스템은 고수명에 고해상도, 자체진단(DS) 모니터링 기능까지 갖춘 첨단 제품이다. 기존 외산 레이더의 대체 수준을 넘어 디지털 방식의 차세대 레이더라는 점에서 조선 및 조선기자재는 물론이고 해운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국산 디지털레이더는 ETRI가 개발한 반도체 방식의 SSPA(Solid State Power Amplifier)를 고출력 전자기파를 만드는 전력 증폭기로 사용한다.

기존 외산 레이더는 마그네트론(진공관) 방식의 전력증폭기를 사용해 출력 소자의 수명이 3000여 시간에 불과하다. 출력 소자의 수명이 다하면 레이더 감지기능이 떨어지고, 화면에 나타나는 레이더 영상도 흐릿해진다. 따라서 외산 레이더는 출력소자를 4~5개월 간격으로 교체해야 한다.

반면에 국산 SSPA레이더는 감지 대상 식별력이 우수하고, 디지털 신호처리로 우천 시 등 악천후에도 해상도가 뛰어나다. 소모 전력은 낮고 내구성은 뛰어나 출력 소자 교체 주기는 무려 5만시간(약 5년)에 달한다.

원격지에서 레이더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등 유지보수 기능도 획기적으로 높였다.

국산 디지털레이더의 등장으로 기존 진공관 방식의 레이더 수요는 점차 감소해 향후 레이더 시장은 SSPA 적용 제품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지털레이더 개발은 외산에 의존해 온 선박 레이더 시스템을 100% 국산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가장 큰 의미가 있다. ETRI는 레이더의 핵심 부품인 출력소자를 자체 개발해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현대중공업이 주도하고 있는 IT기반의 스마트십 경쟁력은 이번 레이더 국산화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전망이다. 스마트십은 선박 내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정보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판단해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한 항해가 가능한 말 그대로 스마트한 선박이다. 스마트십에는 통합항해정보시스템(INS)이 필수고, INS 구축의 핵심 장비는 디지털 레이더다.

현대중공업은 이 레이더시스템을 현재 개발 중인 스마트십2.0과 연계해 차세대 선박통합운항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스마트십2.0은 현대중공업이 지난 2011년 세계 최초로 선보인 스마트십1.0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선박의 기관장치 외에 운항시스템, 외부 환경정보, 타 선박 정보까지 통합〃관리해 최적의 경제운항과 안전운항을 보장한다.

조성우 현대중공업 상무는 “디지털레이더를 시작으로 선박의 주요 항해시스템을 우리 손으로 개발해 세계 조선시장에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선박의 수주 경쟁력 강화와 새로운 선박 서비스 시장을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역연계협력으로 울산, 부산, 대전, 인천의 레이더 관련 전문 기술을 가진 기업 및 연구소,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레이더 기술 및 제품을 국산화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 디지털레이더 국산화는 대·중소기업간 상생 모델이 무엇인지 보여줬고, 나아가 새로운 조선 IT기자재 시장을 창출했다.

또 이번 디지털레이더는 해양, 항공의 군사용으로 적용 가능해 우리나라 방위산업 경쟁력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 총괄 주관기관인 울산경제진흥원에 따르면 이번 사업을 통해 고용 100명, 매출 164억원, 수출 410만달러, 수입 대체 11억원, 신규 시장 창출 32억원, 대중소 상생협력 5736억원이라는 정량적 성과를 거뒀다.

김정도 울산경제진흥원장은 “조선 강국인 우리나라가 유일하게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선박 핵심 IT기자재 레이더를 국산화해 조선과 조선기자재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며 “현대중공업과 개발기술 고도화 및 국내외 선급 인증을 추진해 상용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표-SSPA와 마그네트론 방식의 레이더 비교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