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해외 전기차 민간지원 사례, 박광칠 환경부 교통환경과 전기차보급팀장
올해 전기자동차의 민간 보급사업 활성화를 위해 산업계가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는 정부 의견이 제기됐다. 그동안 정부 보급 사업으로 전기차 시장 기반이 조성됐다. 따라서 업계의 자생력을 토대로 향후 시장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박광칠 환경부 전기차 보급팀장은 “3년간 보급 경험을 바탕으로 7월부터 민간 중심의 보급(정부의 구매 보조금 지원)이 진행 된다”며 “민간 보급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극복할 만한 실력을 갖춘 것을 의미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산업계가 나서서 충전인프라와 전기차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시장 활성화를 주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박 팀장은 “올해 제주도와 일부 선도도시에 최소 400대가 넘는 전기차가 보급되며 보급률에 따라 내년에는 보급 사업은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며 “효율적 충전인프라 확대와 전기차 이용 혜택 등 향상된 정책으로 사업 추진 기반을 공고히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내달 10대 선도도시 중 3~5개의 도시를 선정해 300대 이상의 전기차를 보급할 방침이다. 제주의 160대 민간 보급을 합치면 약 500대의 전기차가 올해 일반인에 의해 운행된다는 설명이다. 산업경제통상부도 급속충전기 표준을 정했으며 내년 출시될 전기차 수요에 따라 추가로 표준을 채택할 예정이다.
반면 전기차 민간 시장 확대에 따라 정부 지원금은 점차 줄어들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금전적 지원은 줄이면서 소비자의 이용을 유도하는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박 팀장은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의 선진 국가들은 시장 활성화에 따라 탄력적인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며 전기차 전용도로와 같은 특별한 혜택과 도시 외곽과 도시 간 거점 중심의 충전인프라 조성에 주안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보조금 지원 계속되지 않고 어느 시점에서 중단될 수 있는만큼 사업 모델 발굴에 적극 나설 때”라고 덧붙였다.
전기차의 테스트베드로서의 필요충분조건, 박경린 제주대학교 교수
제주를 국내 대표의 전기차 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동성 산업이라는 시각 접근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전기차의 전력수요를 감당하고 ICT를 활용한 차별화된 서비스로 아직 고가의 전기차 가격과 충전 인프라에 부족에 따른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대안이기 때문이다.
박경린 제주대학교 스마트그리드연구센터장은 “전기차 가격과 충전인프라 부족 등의 이용자 불안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이동성 산업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제주의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원과 우리 ICT로 차별화된 사업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가 밀폐된 섬이기 때문에 섬 전역을 커버하는 충전 인프라 구축 비용이 저렴하고 이미 운영 중인 330여대의 전기차와 386개의 충전기를 활용하면 사업모델 발굴에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제주의 지형적 조건이 사업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이나 실증 사업에도 유리하다는 주장이다.
박 교수는 “전기차의 주행 가능거리는 도로의 오르막, 내리막 경사도에 따라서 변화가 심하고, 온도·습도·고도 등 환경에 따라서도 많이 달라진다”며 “제주도 한라산을 가로 지르는 516도로나 1100도로 등의 지형 조건에서 실증된 전기차 사업 모델은 향후 전국 확대는 물론 해외 시장 진출에도 큰 이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의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원과 ICT를 접목한 모델 발굴로 유리하다. 박 교수는 “제주도의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은 전기차 산업 육성의 큰 강점”이라며 “ICT로 가장 저렴하게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반대로 전기차 배터리의 전기를 비싸게 팔 수 있는 V2G(Vehicle to Grid)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서비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제주만의 장점을 택시, 렌터카, 카세어링 등에 접목한 새로운 이동성 산업 모델을 제주에서 실현하자”고 설명했다. 제주=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