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콘텐츠 기업은 투자에 목마르다

상상콘텐츠기금 논란

최근 중소기업청과 중소 콘텐츠 기업 간담회에서는 이런 얘기가 나왔다.

“지하철 1㎞ 까는데 1500억원이 드는데, 우리 나라 연간 콘텐츠 산업 지원 예산이 4200억원이다.”

지하철 3㎞도 채 못깔 예산을 갖고 우리나라 전체 콘텐츠 산업을 지원하는 현실이다. 소규모 기업들이 작은 시장에서 고군분투하는 구조에서는 콘텐츠 기업과 시장 성장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목소리가 높다.

콘텐츠 산업은 초기 투자가 많이 들고 흥행 여부는 예측하기 어려운 전형적 `고위험 고수익` 산업이다. 중소기업이 열정만으로 도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위험을 분산하기 위한 초기 투자나 기술 개발 지원에 대한 요청이 높은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국산 애니메이션 한편 제작에 1억원 정도 투입되는데 지상파 방송사에선 편당 1000만원 안팎에 구매한다”며 돈이 돌지 않는 산업 현실을 지적했다. 드라마 제작사 역시 저작권의 상당 부분을 방송사에 `양보`하는 상황이다.

제조업 중심에서 스토리와 지식 기반의 창조 경제로 도약해야 하는 기로에 선 국내 현실에 비춰 봐도 콘텐츠 산업에 대한 투자는 필수다. 권택민 한국콘텐츠진흥원 부원장은 “열악한 시장 환경과 중소기업의 한계 등은 국내 콘텐츠 산업이 10년 이상 풀지 못 한 숙제”라고 말했다.

콘텐츠공제조합은 이런 숙제를 풀기 위한 첫 단추다. 정부는 7000억원 규모의 콘텐츠공제조합을 조성, 콘텐츠 산업 육성과 창조경제 구현의 종잣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성공을 거둔 콘텐츠 기업, 콘텐츠로 수혜를 보는 기업 등이 중심이 돼 콘텐츠 창작에 재투자한다. 영세 콘텐츠 기업의 자금난에 숨통을 틔울 것으로 기대된다.

콘텐츠코리아랩 조성에도 나선다. 미국 MIT 미디어랩처럼 콘텐츠와 기술, 스토리와 미디어를 융합해 자유롭고 새로운 창작물을 내놓도록 지원한다. 멘토링과 자금 지원, 네트워킹과 마케팅 지원으로 아이디어가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콘텐츠공제 조합으로 창작을 위한 기본 자금 젖줄을 마련하고, 콘텐츠코리아랩 등의 사업을 통해 산업 저변의 문화적 힘을 높인다는 목표다. 한류가 세계적 인기를 얻으면서 국내 콘텐츠 산업의 성장 잠재력도 차원이 다르게 커졌다. 적극적 투자로 기존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문화부는 최근 국정과제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현재 매출 92조원, 수출 49억달러인 콘텐츠 산업 규모를 5년 안에 매출 120조원, 수출 100억달러 산업으로 키운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