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이 부회장으로 전격 승진했다. 1991년 삼성전자 부장으로 입사한 지 21년 만에 부회장 반열에 오른 것.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 일환이면서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변화를 고려한 전진 배치다.
이 사장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으로 2007년 삼성전자 전무로 올라 글로벌 경영에 한 축을 담당해왔다. 최근 2년간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맡아 삼성전자의 경영 전반을 지원해 창립 이래 최대 성과를 올렸다. 그동안 삼성은 스마트폰, TV,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 사업이 세계 경제 위기 속에서 글로벌 1위로 자리매김했다.
삼성은 이 사장이 경쟁·협력사 관계 조정, 고객사 유대관계 강화에 탁월한 역량을 보였다고 승진 배경을 밝혔다. 이 사장은 삼성이 애플과 특허 전쟁을 벌일 때도 팀 쿡 애플 사장을 직접 만나 협력을 논의하는 주요 통로로 주목 받았다. 애플과 특허전이 사실상 마무리단계에 이른 만큼 양사가 협력과 경쟁의 새 물꼬를 틀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이 사장의 부회장 내정으로 이건희 회장을 잇는 경영권 승계 여부도 관심사다. 삼성은 이번 정기 사장단 인사에서 최지성 부회장의 공백을 메울 DMC 부문장을 따로 두지 않았다. 이 사장이 윤부근, 신종균 `투톱`의 협력을 이끌어낼 적임자라는 판단에서다. 그룹 핵심사업의 조율을 맡겼다.
당초 재계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이 사장의 부회장 승진이 예상보다 늦춰지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있었다. 대선 후보들이 경제민주화를 내세우면서 강도 높은 재벌개혁에 나설 것을 고려한 것이다. 삼성은 정치권의 압박보다 변화와 미래 성장을 이끌어갈 세대교체에 무게를 뒀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여전히 경영 일선에서 뛰기 때문에 경영권 승계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부회장으로 승진한 만큼 최고 경영자의 눈으로 더 깊고, 더 넓게 경영 전반을 살필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