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 가능률 산정 방법에 대한 국제표준을 선점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브라질에서 열린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전기·전자제품 및 시스템 환경표준화(IEC/TC111)`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재활용 가능률 산정과 정보 제공방법`의 표준 제정이 완료됐다. 내년 초 프랑스어로 번역이 완료되면 국제표준으로 공식 출간될 예정이다.
세계 전기·전자제품 제조업체는 앞으로 우리나라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해 환경을 고려한 설계를 수행, 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기존 소재를 사용했을 때의 재활용 가능률을 객관적으로 분석·평가하고, 결과를 새로운 제품 개발에 반영할 수 있다. 제조업자와 재활용업자간 정보공유 방법의 표준화로 재활용 사업의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유럽연합(EU)은 폐전기·전자제품처리지침(WEEE)을 통해 제품의 재활용 가능률 60~80% 달성을 요구하고 있지만 그간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국제표준이 없었다. 이번 표준 제정으로 수출입 시 생길 수 있는 혼란을 막고, WEEE 요구에 만족하기 위한 기업의 과잉대응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에는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구축한 재질별 재활용 가능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가 포함됐다. DB는 전기·전자제품 제조 시 특정 물질을 사용하면 얼마나 재활용이 가능한지 객관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100개 물질에 대한 정보를 담았다.
김기정 KEA 환경에너지팀장은 “기업들은 재활용 가능률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물질을 적용하고 테스트하는 작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며 “개선 여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툴이 이번에 만들어진 것으로, 이번 국제표준 제정을 통해 우리 DB 구축 기술·능력에 대한 우수성도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