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비즈니스]불붙은 해상풍력 배후단지 유치경쟁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전남-전북 해상풍력 배후단지 후보지 비교

정부의 서남해 해상풍력 사업이 가속화 되면서 배후단지 유치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정부는 해상풍력 사업 경제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13년까지 배후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터빈·블레이드(날개)·타워 등 주요 풍력발전 부품을 조립·보관·운송해 원활한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돕고, 향후에는 풍력발전기·부품 수출 전진기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린비즈니스]불붙은 해상풍력 배후단지 유치경쟁
Photo Image
전라북도 군산 새만금방조제에 건설된 풍력발전단지 전경.

◇배후단지 유치, 왜 중요한가=전라남도와 전라북도는 각각 목포신항과 군산항을 후보지로 내세워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배후단지 건설에는 총 260억원(국비 130억원, 민간 130억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투자규모는 비교적 작지만 발전가능성을 고려하면 가치가 상당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는 10조2000억원을 투입해 2019년까지 2.5GW 규모 해상풍력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 사업으로 42조원의 매출과 7만6000명의 고용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배후단지를 중심으로 사업이 수행되는 만큼 매출과 고용창출 효과는 해당 지자체에 그대로 적용된다.

해상풍력단지 건설 완료 후에도 배후단지는 국내 풍력산업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현지 공장·연구소 운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고 해외 수출산업을 육성할 수 있다. 풍력 이외에 다른 산업 물류기지로서의 역할과 관광지 기능까지 감안하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는 셈이다.

정부는 이달 공모를 시작해 6월 대상지 선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의 `서남해 2.5GW 해상풍력 종합추진계획`에 따르면 해상풍력추진단과 에너지관리공단이 관련 용역과 배후단지 확보방안을 수립하고, SPC와 터빈업체·시공업체 의견을 수렴해 지역을 선정한다. 이후 SPC와 터빈업체 등 관련사가 항만운영주체와 계약을 맺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서남해 해상풍력 SPC 발족준비반`을 한국전력 신재생실 하부 조직으로 꾸리고 실증단지 건설을 위한 육상 테스트베드 부지 물색에 나서는 등 사업을 가속화 하고 있다. 정부가 해상풍력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전남과 전북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전북은 지난 3월 현대중공업·한진 등 12개 기관·기업 참여한 가운데 배후단지 유치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 지난달에는 해상풍력 배후단지 민간유치추진위원회를 출범했으며 군산시는 최근 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뜻을 모았다.

전남은 지난 3월 `전남풍력산업 장·단기 로드맵`을 확정하고 △풍력산업 시험인프라 구축 △기업육성 지원체계 구축 △풍력산업 배후단지 조성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건설 등을 축으로 하는 분야별 세부 시행과제를 공개했다. 지난달에는 `해상풍력 배후항만 개발전략을 위한 포럼`을 열고 배후단지로서 목포항의 장점을 홍보했다.

◇목포신항 vs 군산항 “내가 제일 잘 나가”=배후단지 유치에는 전남과 전북의 자존심이 걸려있다. 두 지자체는 수년 전부터 `풍력산업 메카`로 발돋움 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라이벌 관계다.

전북은 군산항을 `M-PORT(Manufacture Port)`로서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제조공장을 갖춘 항구라는 뜻으로 블레이드(KM, 데크항공)와 터빈(현대중공업)을 생산하는 공장이 이 지역에서 가동되고 있으며 타워·하부구조물 생산공장(대림C&S)도 2013년부터 가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전북도청 관계자는 “블레이드·타워·하부구조물 등은 도로 운송이 어렵기 때문에 독일은 제조공장이 완비돼 있는 지역을 북해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위한 배후항만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산항은 해상풍력단지 건설 예정지와 거리가 가깝고(60㎞) 조류 방향·세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운송 당일 즉시 해상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게 전북 측의 설명이다. 대규모(총 47.7㎢) 배후산업단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두 운영에 있어 중요한 물동량(물자가 이동하는 양)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남 역시 목포신항 부근에 조선부품 제조업체와 삼호중공업 등 풍력사업 협력 가능 업체가 밀집해 있다는 부분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대불산업도로·대불항 등이 연결돼 있는 등 육해상 접근성이 뛰어난데다 수심이 15m로 깊고 평균 조수간만의 차가 적어 연중 불편없이 대형플랜트화물 선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60만㎡ 규모의 배후단지를 조성하고 있으며, 단지·항만 확장성도 우수하다는 게 전남 측 설명이다. 정부가 제시한 배후단지 기준은 적치장(물건을 쌓아두는 곳) 면적 6만~25만㎡, 부두길이 150~200m, 수심 7~7.5m로 알려졌다.

문채주 목포대학교 교수는 “목포신항은 1년에 200개의 터빈을 조립·운반할 수 있다”며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건설이 예정돼 있지만 항만은 없는 제주도 지역까지 목포신항에서 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소박스/ 좋은 배후단지의 조건은

배후단지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는 사업단지와의 거리다. 거리가 멀수록 경제성이 떨어지고 안전문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무겁고 비싼 부품을 해상으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위험부담이 커진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1·2단계 실증·시범단지는 전북 고창변전소에서 26㎞ 떨어져 있으며 2019년 건설이 완료되는 대규모 단지는 이보다 먼 바다에 위치하게 된다.

해상풍력단지까지의 거리는 군산항보다 목포신항이 약 20~50㎞ 멀어 불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실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는 의견도 있다. 풍력발전 시스템 업체 공장이 경남 창원 근처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제품을 군산항까지 올려 보냈다가 다시 해상풍력단지로 내려 보내려면 오히려 이동거리가 길어진다는 주장이다. 주요 부품의 이동 등 전체적인 여건을 고려하면 결국 군산항이 유리하다는 의견과 팽팽히 맞서고 있다.

관련 업체의 밀집 여부도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배후단지 근처에 관련 업체가 집중돼 있으면 제품 수급이 원활하고 유지보수도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 부문에서는 군산항이 유리하다는 의견이 다수다. 군산항 인근 현대중공업의 터빈 공장과 KM·데크항공의 블레이드 공장이 실제 가동 중이기 때문이다. 목포신항 인근 대불산단에도 DMS의 공장이 있지만 규모가 비교적 작다는 부분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양산 능력을 갖춘 삼성중공업과 유니슨은 각각 경남 거제와 사천에 공장을 갖고 있다.

적절한 수심을 유지하느냐도 중요한 문제다. 수심이 얕으면 대형선박 운영이 어려워 준설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군산항과 목포신항은 각각 수심이 9~16m, 15m로 정부의 기준(7~7.5m)을 모두 만족한다. 하지만 군산항의 경우 퇴적물이 쉽게 쌓여 준설이 계속 필요하다는 의견과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군산항은 밀물 속도는 빠르고 썰물 속도는 늦어 쉽게 퇴적이 된다”며 “적절한 수심을 유지하려면 매년 준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밖에 전용 항구의 규모, 배후단지 확장 가능성, 주요 장비 보유여부 등이 주요 조건으로 꼽히며 이 부문에서도 군산항과 목포신항간 장단점에 대한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전라남도-전라북도 해상풍력 배후단지 후보지 비교(자료:전남도청, 전북도청)


유선일기자 ysi@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