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금융 하루만에 안정세 찾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따른 금융권 불안이 하루 만에 안정을 찾았다. 코스피지수는 반등했고, 환율과 국고채 금리도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이 단기 악재에 그친 것이다.

 20일 증시전문가들은 글로벌 역학구도를 고려할 때 북한 지도체제가 자연스럽게 김정은 체제로 안착하면서 국내 금융권에도 큰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일보다 16.13포인트(0.91%) 상승한 1793.06, 코스닥지수는 12.00포인트(2.51%) 오른 489.61에 장을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12.60원 하락한 1162.20원으로 안정세를 찾았다.

 ◇지정학적 리스크 추세적 요인 아니다=증시 상승에 대해선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학습요인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곽중보 삼성증권 연구원은 “김 위원장 사망은 분명 기존 사건과는 다른 중대한 사안이지만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수십년 간 지속되면서 단기 악재에 그친다는 학습효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과 미국 등이 북한의 안정을 선택한 것도 증시 상승에 무게를 실었다는 주장도 있다.

 김형렬 교보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김정일 사망 소식이 투자심리를 냉각시켰지만,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앞으로의 북한 체제와 정책 방향 때문이다”며 “중국과 미국의 정책방향이 안정을 추구하는 쪽에 무게가 실리면서 증시도 안정을 찾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시되고 있지만 유럽 신용이슈와 마찬가지로 현재 우리가 결론내릴 수 있는 것은 없는 상황이다”며 “따라서 이번 사안은 유럽 이슈와 마찬가지로 추세적 요인이 아닌 변동요인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통일 한국 고려한 시각 필요=중장기적으로 ‘통일한국’의 편익을 선반영하는 시점을 포착하는 기회로 삼아야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북한의 개방을 통한 통일에 대비해야한다는 주장이다.

 한동욱 현대증권 자산배분팀장은 “중국과 미국이 현 체제를 인정, 북한이 김정은을 중심으로 한 40~50대 엘리트 집단지도체제로 변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럴 경우 개방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연구원은 “분단비용보다 통일비용이 더 작기 때문에 적절한 정책으로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조절이 가능하다”며 “한국은 북한의 자원과 노동력, 남한의 기술력으로 통일 후 북한 주민 생활은 지옥에서 천당으로, 남한은 10년간 연간 11.25% 성장이 가능할 것이란 예측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통일비용은 연간 700억달러가 예상되나 통합 이후 10년간 누적 편익은 1조달러 이상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강조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