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글로벌 인재양성의 산실] <3>정보통신융합공학

Photo Image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창조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다. 사진은 전공 대학원생이 강의를 듣는 모습.

 최근까지도 노트북과 MP3, 휴대폰 등 다양한 IT기기를 따로 들고 다녔다. 이젠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하나만 있으면 이 모든 것이 해결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HW와 SW, 통신을 창조적으로 융·복합하는 기술이 정보통신산업의 핵심 키워드가 됐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개별분야의 기술은 한계에 봉착했다고 판단, 각 분야 간 융·복합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처럼 정보통신은 융합이 가장 필요한 분야며, 더 나아가 이종산업 간 융·복합의 매개체로 각광받고 있다.

 DGIST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은 IT기기 및 서비스 최첨단 기술뿐만 아니라 바이오, 로봇, 에너지, 문화, 나노 등 융합에 필요한 선도기술을 연구하는 융합에 특화돼 있다.

 현재 국내 대다수 대학은 전자와 컴퓨터 및 통신이 분리 운영되고 있어 기술개념의 융합이 필요한 창의적 연구수행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전공은 디바이스에서 컴퓨팅까지 전자 및 컴퓨터공학과 관련된 모든 기술을 배워 뇌과학, 로봇, 에너지시스템 등 타 전공과의 융·복합연구를 수행한다.

 로봇과의 융합은 로봇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임베디드 SW 기술이나 신호측정에 사용되는 바이오나노 소자연구가 가능하다. 또 뇌과학은 뇌 연구 및 실험장치 구축에 필요한 SW 기술, 인체에 적용 가능한 나노소자 연구가 융합을 통해 이뤄지며, 에너지 분야는 복잡한 에너지시스템을 위한 SW 구축 및 시스템 간 통신관련 연구를 정보통신 융합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 전공은 타 대학 관련 전공에 비해 후발주자이다. 하지만 단시일 내에 퀀텀점프(Quantum Jump)하기 위해 중점연구 분야를 선택해 집중 지원하고, 이를 클러스터(세부전공별 협력연구실)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타 분야와의 융합연구를 위해 사이버 물리시스템(CPS:Cyber-Physical Systems)기술 연구에 집중할 방침이다. 기존 임베디드시스템의 발전적 형태인 CPS는 로봇과 의료기기 등 물리적 시스템과 사이버 공간의 SW 및 주변 환경을 실시간 통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또 교수진을 살펴보면 서울대 명예교수로 제어 분야 세계적 석학인 권욱현 석좌교수를 필두로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마이닝 분야의 김민수 교수와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 박태준 교수, 무선통신 분야 박경준 교수, 통신 및 신호처리 분야 최지웅 교수, 전자 및 나노소자 분야의 장재은 교수 등 SW부터 디바이스까지 여러 분야에서 실력파 교수들이 포진해있다.

 특히 제어 분야 해외 석학인 스테판 보이드 스탠포드대 석좌교수와 컴퓨터과학 분야의 석학 존 스탄코빅 버지니아대 석좌교수, 실시간 컴퓨팅의 대가인 신강근 미시간대 석좌교수, 사이버물리시스템의 대가인 이인섭 펜실베니아대 석좌교수 등도 참여하고 있다.

 권욱현 석좌교수는 “전 세계 석학들과 밀접한 연구협력체제를 갖추고 DGIST내 연구기능과 협업, 실질적인 연구 및 기술개발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라며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은 앞으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창조형 인재로 양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보통신융합공학 향후 진로분야

Photo Image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창조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다. 전공 대학원생들이 강의를 듣고 있다.
Photo Image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