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한국이 보안 감사·인증 등 정책을 공유해 양국의 보안 기업이 상대국에 진출시 시간과 비용 투자를 줄이고 신뢰를 확보하는 국가적 논의가 필요하다.”
20일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주관으로 개최한 ‘한·일 정보보안 심포지움’에 참석한 일본 보안감사협회(JASA)·일본네트워크시큐리티협회(JNSA) 등 일본 전문가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특히, 이들은 제도가 먼저 발전한 일본과 기술과 제품이 우수한 한국이 서로 장점과 단점을 공유해 상호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자고 제의했다.
도이 노리히사 JASA 회장은 “최근 일본 경제산업성에서 한국 정부 관계자를 초청해 감사 제도를 공유하자는 논의를 시작했다”며 “일본과 한국에서 받은 감사를 상호 인증하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나가미야 타다시 JASA 사무국장은 “한국 기업이 보안 기술이나 제품이 뛰어나지만 일본 진출 시 국제표준 등을 충족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어 이번 심포지엄에서 한·일 표준을 만들고 이를 글로벌 표준으로 발전시키는 등 글로벌 시장 개척에 공동 대응하자”고 제안했다. .
일본은 개인정보보호법 통과 후 현재 약 1만여개 이상의 기업이 개인정보보호 인증를 취득, 개인정보보호 분야에서 앞서고 있다. 시모무라 마사히로 JNSA 사무국장은 “ISMS 인증을 획득한 기업이 3500여개인데 반해 개인정보보호 인증을 취득한 회사는 1만여개가 넘는다”며 “개인정보보호 인증이 비즈니스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해 취득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나카오 코지 JNSA 부회장은 “개인정보보호법을 가장 먼저 시행한 덴마크는 법 시행 당시인 1970년대 개인정보를 어느 범위에서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허락받는 구청과 같은 거점을 마련한 후 시행했다”며 “일본은 그런 거점 없이 바로 법을 시행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한국도 법 시행 전 선진 사례을 살펴보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장윤정기자 linda@etnews.co.kr
-
안수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