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전후 벤처 버블이 제거된 후 10년 가까운 시간 동안 이들 스타트업 기업은 차츰 사라져왔다. 그 결과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가 벤처 창업 CEO의 고연령대다. 10년 전인 1999년 20·30대 벤처기업가 비중은 58%로 절반을 크게 넘었다. 그러나 이 비중이 2009년에는 11.9%로 4분의 1 토막이 났다.
스타트업 기업에 다양한 CEO들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도 우려스럽다. 벤처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기준 벤처기업 CEO 가운데 학생·교수·연구원 출신은 겨우 10%를 넘는 수준이다. 10명에 8명인 81.3%가 일반기업체 출신이다.
이들의 감소는 여러 폐해로 이어지고 있다. 벤처캐피털은 우량 초기 스타트업 기업을 찾지 못해 상장을 앞둔 기업에만 투자를 몰아주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엔젤투자도 사라졌다. 2000년 엔젤투자자 투자 규모는 5500억원에 육박했지만 지난해는 그 비중이 350억원으로 10분의 1도 안 되는 처참한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새해는 보다 긍정적이다. ‘스마트 빅뱅’에 젊은 대학생들과 연구소, 교수들이 서서히 움직이고 있다. 이들이 최근 새로운 기술 트렌드에 가세하며 ‘스타트업’ 혁명에 기대감을 높이 표명하고 있는 것이다. 벤처캐피털업계 전문가는 “제2의 닷컴 붐이 오겠느냐고 질문하면 ‘찬성’ 쪽에 한 표를 던지고 싶다”고 말했다.
정부도 움직임이 감지된다. 첫 번째 정책이 지난해 8월 나온 ‘청년 기술·지식창업 지원대책’이다. 기술·지식·IT응용 3대 창의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통해 일자리 문제까지 해소하겠다는 의지다. 성장 잠재력을 가진 3대 창의 분야에서 청년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술 개발 △자금 지원 △법·제도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담았다.
3조원대의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지원하는 중소기업진흥공단도 스타트업 기업과 이들의 기술사업화에 자금을 몰아줄 계획이다. 시중은행에서 자금 조달이 가능한 우량 중소기업에는 지원을 최소화하고 이들 스타트업 기업을 챙기겠다는 의지다. 중진공은 새해 창업지원자금과 개발기술사업화 자금을 각각 작년보다 18.6%와 63.3% 증가한 1조4000억원과 2580억원으로 잡았다.
이와 함께 전국 각지의 창업보육센터와 대학의 창업동아리들도 스타트업에 힘을 보탠다. 2009년 10곳의 창업보육센터 지정을 취소한 중기청은 지난해에도 약 10개의 창업보육센터를 지정했다. 대학의 창업동아리는 젊은 스타트업의 ‘요람’이라고 할 만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학생벤처네트워크를 비롯해 서울에만 수 십개의 창업동아리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홍국선 서울대학교 교수(재료공학부)는 “단순히 일자리나 먹고 살기 위해서가 아닌 ‘제2의 성장모멘텀’으로 청년들이 스타트업에 도전하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현대차 수소연료전지 탑재한 '수소 버스' 中 도로 달린다
-
2
단독산업부, KDDX 방산업체 지정 착수...HD현대重·한화오션 운명 갈린다
-
3
히잡 단속에 옷까지 찢긴 이란 여학생… 속옷차림으로 캠퍼스 활보
-
4
비트코인 9만달러 돌파 후 주춤…도지코인 등 밈코인도 조정세
-
5
이노그리드, 한국무역보험공사 IT 인프라 증설·교체 사업 수주
-
6
BYD, 韓 전기차 시장 진출 확정…내년 승용차 브랜드 공식 출범
-
7
에너테크인터내셔널, LFP 배터리 개발 착수…“2027년 양산 목표”
-
8
HBM4용 신규 접합 '플럭스리스 본딩' 급부상
-
9
HBM4, 시스템 반도체 기술이 승패 가른다
-
10
“AI, 로봇 코드 짜줘”…NH농협은행 '생성형AI-RPA 연계 시스템' 구축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