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걸린 ITS산업] (1)업체들 설 자리가 없다

Photo Image
IT융합의 대표주자인 ITS산업이 제도 미비 등으로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교통서비스 센터 모습.

 지난달 25일, 정부는 신성장동력 스타브랜드 62개를 발표했다. 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부터 5년간 24조여 원이나 투입되는 스타브랜드에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이 들어 있다. 교통과 IT가 만난 ITS는 융합시대의 대표산업일 뿐 아니라 이명박 정부가 주창하는 녹색성장에도 딱 어울리는 분야다. 이 때문에 정부가 녹색성장을 운운할 때마다 약방의 감초처럼 거론된다. 하지만 국내 ITS산업은 채산성 악화로 최악의 상황을 겪고 있다. 3회에 걸쳐 원인과 해결책을 찾아본다.

 국내 굴지의 IT서비스업체에서 ITS 사업부문을 맡고 있는 A차장은 요즘 죽을 맛이다. 밤새워 제안서를 만들고 온갖 정성을 기울여 프레젠테이션을 해 발주처에서 물량을 따와도 회사에서는 찬밥신세다. ITS가 회사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1%를 약간 넘을 정도로 작을 뿐 아니라 수익성도 2∼3%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수익은 통상 5% 안팎인 다른 분야에 비해 크게 낮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회사에서는 “ITS 사업을 계속 해야 하느냐”는 소리가 끊임없이 나온다.

 다른 IT서비스업체의 사정도 비슷하다. 수익성이 낮다 보니 최근 몇 년 새 전담팀을 해체하거나 조직을 축소한 곳이 여러 군데다. 지난해 ITS 분야 선두권인 한 IT서비스업체는 ITS 관련 매출이 적잖게 발생했는데도 수익이 적다는 이유로 담당 임원을 교체했다.

 IT서비스업체뿐 아니라 전문업체 숫자도 줄고 있다. 몇 년 전 만해도 ITS 전문업체 수는 10여 곳에 이르렀다. 하지만 지금은 절반 정도인 5∼6곳에 불과하다. 정부가 ITS에 대해 차세대 성장동력 운운하며 장밋빛 지원을 약속하고 있지만 정작 업체들은 수익성 악화로 고전한다.

 이철기 아주대 교수(한국ITS학회 이사)는 “현재 ITS 전담팀이 있는 IT서비스기업은 삼성SDS와 LG CNS 정도”라며 “특히 정부 발주 물량이 급격히 감소했던 2006년도에 ITS 관련 조직이 많이 축소됐다”고 밝혔다. 수익이 적다 보니 많은 IT서비스업체들이 전담팀 대신 u시티나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의 일부로 ITS사업을 전개한다. 또 ITS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버스정보시스템(BIS) 같은 일부 ITS사업에만 매달린다.

 이런 현실 속에서 ITS를 녹색성장을 주도하고 나아가 전자정부 같은 수출 아이템으로 성장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ITS는 도로에 지능을 ‘입히는 사업’ 특성상 중앙 정부와 지자체 발주 물량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공공기관이 ITS 서비스와 인력에 대해 제값을 줘야 업체가 살고 시장이 산다는 뜻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산업을 살려야 할 공공기관이 최저가 입찰제를 시행해 가격을 대폭 깎는 바람에 기업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다. 기업이 생존할 최소한의 수익을 없애는 지자체나 공공기관이 오히려 예산을 줄였다고 칭찬받는 상황이다.

 IT서비스업체 한 임원은 “발주기관의 사업추진 방식과 사업자 선정 방법 등에 문제가 많다”며 “이 때문에 ITS 전문인력과 전문업체들이 애써 개발한 기술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관련업체 수도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