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도시` 표준모델 만든다

민·관·학 공동 `u시티 포럼`내달 출범

도시 설계 단계부터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 종합적인 정보기술(IT)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신도시 ‘u시티(유비쿼터스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민·관·학계의 공동 노력이 본격화된다.

 12일 정보통신부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민간 기구로 출범한 ‘u시티 추진협의회(의장 신상철 한국전산원 단장)’가 내달 12일 ‘한국 u시티 포럼’으로 재구성해 출범한다.

 한국 u시티 포럼은 정통부 산하에서 국내 RFID/USN 수요 활성화 및 정책 지원을 맡고 있는 ‘RFID/USN 센터’ 산하의 포럼 중 하나로 편입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한국 u시티 포럼은 RFID/USN 센터 산하로 운영되고 있는 표준화 포럼 및 모바일 RFID 포럼 등과 함께 정부의 u코리아 구현 전략의 한 축을 맡게 된다.

 ◇u시티 표준 모델 수립 집중=한국 u시티 포럼은 정부 차원에서 u시티 구현에 필요한 인프라 조성을 위해 정부 및 민간, 학계 전문가들이 모여 전략을 도출하는 일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게 된다. 즉 u시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도시에 맞는 모델과 u시티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기술, 또 도시별 서비스 모델이 필요하다. 또 법이나 제도가 뒷받침돼야 하며 포럼 출범은 이 같은 작업을 민·관·학계 공동으로 시작하자는 의미를 담게 된다.

 무엇보다 포럼에서는 현재 지자체 단위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u시티 구현 움직임을 바탕으로 표준 모델을 만들어, 향후 지자체들이 자기 지역 현황에 맞는 표준 모델을 기반으로 도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일종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계획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자체별로 u시티 추진 계획이 경쟁적으로 나오고 있지만 도시 설계 초기부터 IT 인프라를 활용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함께 제시하며, 공공 및 상용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표준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포럼 설립 배경을 밝혔다.

 포럼은 현재 개발중이거나 개발 예정인 신도시의 목표 및 개별적 요구 사항을 수렴해 각 도시의 목적에 따라 요구 기능에 맞는 서비스를 접목해 각각의 표준 모델을 수립할 계획이다.

 토지공사의 경우 포럼에서 개발되는 표준화 모델을 용인 흥덕지구와 화성 동탄에 시범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개발하는 대규모 신도시에도 이를 점진적으로 적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조직 구성 및 전망=포럼 회장사는 u시티 구현 전략을 미래 사업으로 적극 펼치고 있는 KT가 맡을 것이 유력하다. 현재 포럼에는 정통부 관계자를 비롯해 한국전산원, 토지공사, KT, 삼성SDS 등 30여명의 전문가가 전략기획을 수립하는 워킹그룹에 속해 활동하고 있다.

 정식 조직이 출범하게 된 후 포럼은 크게 △기술 △기준 및 인증 △응용서비스 등 3개 분과위로 구성해 지자체별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서비스 적용 방안 등에 대한 연구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또 건교부 등의 관계부처와 정지작업을 전제로 한 관련 법률 제정을 위한 다양한 법, 제도 개선 활동을 펼친다.

 포럼은 내년까지를 u시티 추진 준비기로 보고 있으며, 오는 2007년부터 본격 도입기에 돌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를 위해 포럼은 내년까지 u시티 적용 기술 및 서비스를 발굴해 시범 적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하고, u시티 건설에 필요한 법·제도를 분석하고 정비하는 데 집중적인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이 밖에 지자체의 투자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 및 세제 지원 정비와 글로벌 투자펀드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도 전개할 예정이다.

 포럼창립준비위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근호 순천향대 교수는 “민·관 협력에 의한 협력 모델을 통해 u시티 구현을 구체화할 때가 됐다”며 “전문가 그룹에서 선도적으로 도시 모델을 제시하고, 정부는 법제도를 정비해 표준 모델을 만들어 지자체를 지원하며, 기업은 u시티의 기획부터 설계, 운영 전 단계에 걸쳐 참여하는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한국 u시티 포럼 발족으로 각 지자체가 구상하고 있는 u시티 개념의 신도시 개발이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포럼에서 세운 중장기 u시티 전략 기획서를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별도 예산을 편성, 표준 모델 기반의 u시티 구현 시범사업을 펼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가동할 예정이다.

 한편 전경련 기업도시 자료 및 정통부의 IT839 자료에서 밝힌 u시티 건설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고용 창출 60만명, 투자액 30조원, 생산 유발액 248조원, 경기부양 효과 GDP 기준 5%, 부가가치 유발액 100조원에 이른다.

 신혜선기자@전자신문, shinhs@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