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개 펴는 휴대폰, 겨울잠 자는 이동통신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이통3사 1월 실적

*번호이동성 전면 확대 힘입어

번호이동성 특수 및 중저가 단말기 재고 물량이 쏟아지면서 1월 휴대폰 공급량이 지난달에 비해 50∼69% 대폭 성장했다.

 1일 삼성전자·LG전자·팬택앤큐리텔 등 빅3 휴대폰 업체가 집계한 내수 휴대폰 판매실적에 따르면 1월 휴대폰 시장규모는 번호이동성 제도의 전면 확대 시행의 영향으로 전월 100만대에 비해 50∼60% 성장한 150만∼160만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1월 휴대폰 시장규모 150만대 중 72만여대를 공급, 4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37만∼38만대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위성DMB폰은 특히 출시한지 20여일 만에 1만5000대가 출고돼 시장 진입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다. 조진호 삼성전자 상무는 “번호이동성 제도의 시행 이후 LG텔레콤과 SK텔레콤·KTF 간의 가입자 유치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단말기 수요가 급증했다”며 “하지만 2월 휴대폰 시장은 사업자들의 마케팅 축소 움직임에 따라 다시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LG전자는 1월 휴대폰 시장규모를 164만대로 자체 집계하고 이 가운데 35만대를 판매, 21.4%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LG전자의 경우 일명 ‘어머나폰(모델명 LG-SD340, LG-KP3400, LG-LP3400)’이 한 달 동안 10만대 이상 판매된 데다 30만원대 이하 저가 단말기 판매가 늘었다. 조성하 LG전자 상무는 “번호이동성 제도의 시행 및 제조사들이 보유한 저가 휴대폰 재고물량이 1월 들어 해소됐다”며 “2월 시장은 사업자에 대한 정통부의 추가 제재조치 여부 및 졸업 등 계절적 특수가 시장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팬택앤큐리텔은 1월 155만대 시장에서 31만2000대를 공급, 시장점유율이 지난해 12월 18%에서 20%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했다.

 이들 3사가 자체 집계한 시장점유율의 경우, 삼성전자가 43∼48%, LG전자가 18∼21.4%, 팬택앤큐리텔이 16∼19% 등 업체별로 적게는 3%, 많게는 5% 안팎의 편차를 보였다.

 이 밖에 SK텔레텍·KTF테크놀로지스 역시 번호이동성 제도의 수혜를 보면서 1월 공급량이 각각 9만대에 육박했고, 모토로라는 6만대를 공급한 것으로 추산됐다.

*가입자 순증 11만 8000명 그쳐

1월 이동통신 3사가 확보한 신규가입자수(번호이동+010신규)는 모두 합쳐 124만명으로 지난 해 5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모처럼 호조를 보였지만 같은 기간 해지가입자도 112만명에 달해 가입자 순증이 11만8000명에 그쳤다.

 가입자 순증 11만8000명은 지난 해 상반기 평균(40만∼50만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가입자 3700만명에 육박한 이동통신 시장이 포화국면에 다다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1일 이동통신사업자들에 따르면 지난 1월 3개 사업자가 확보한 순증 가입자수는 KTF가 9만2500명, SK텔레콤이 6만1500명, LG텔레콤이 -3만5000명(순감)을 각각 기록했다.

 각 사업자는 번호이동이나 010신규가입을 통해 각각 46만3000명(KTF), 49만1000명(SK텔레콤), 28만4000명(LG텔레콤)을 각각 확보했으나 같은 기간 해지가입자가 각각 37만명, 42만9000명, 31만9000명에 달해 전체 가입자를 크게 늘리지 못했다.

 업계는 이동통신시장이 더는 새로운 가입자를 확보하지 못하는 정체 국면에 진입한 결과로 해석하는 한편, 기기변경에 맞춘 번호이동이나 해지 후 재가입을 새 흐름으로 분석했다.

 한편 KTF가 가장 많은 순증 가입자를 확보해 지난 9월 이후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SK텔레콤은 가장 많은 번호이동 가입자(25만7000명)와 신규가입자(23만3000명)를 확보했지만 해지가입자도 많아 순증가입자 실적에서 뒤처졌다.

 시장 점유율은 KTF가 0.15%를 늘린 32.21%를, LG텔레콤은 총 가입자 603만8000명으로 0.15%떨어진 16.45%를 기록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위로부터 이통 3사 모두 불법보조금 지급건을 적발당하는 등 과열경쟁을 벌였지만 사실상 사업자에 돌아가는 실익은 크지 않다는 의미”라며 “가입자 뺏기에 과열경쟁을 벌이는 이통시장 행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용석기자@전자신문, ys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