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시장의 클린마케팅 이행을 놓고 선발사업자인 SK텔레콤과 후발사업자인 KTF, LG텔레콤 사이 밀고 당기기가 치열하다. 후발사업자인 KTF와 LG텔레콤은 특히 오는 26일 통신위가 열리기 전에 클린마케팅 이행조건을 사업자의 약관에 명시해 족쇄를 채우는 방안을 관철시킨다는 입장이어서 주목된다.
이들 사업자는 지난 13일 저녁 정통부에서 열린 클린마케팅 이행방안 관련 회의에서 “지난 1일 (KTF에서) SK텔레콤으로의 번호이동을 시작한 이후 과도한 리베이트 지급으로 공짜폰이 등장하는 등 클린마케팅이 지켜지지 않는다”라며 “불법마케팅 재발방지를 위해 사업자들의 이용약관에 단말기 보조금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큰 정책보조금의 한도를 5만 5000원으로 제한한다는 내용을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클린마케팅 선언의 후속조치로 구성된 이동통신공정경쟁협의회가 실질적인 클린마케팅 이행을 점검하기 위해 리베이트 자율제한 보다는 명시된 제한선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KTF관계자는 “다음 달 20일 영업정지 전까지 SK텔레콤이 상반기 번호이동고객 만회를 위해 금권마케팅을 벌이고 있으나 통신위의 사례수집과 심결로는 이를 적시에 제재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클린마케팅 선언을 현실화하려면 제한선을 명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SK텔레콤은 “현재 번호이동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클린마케팅 기조가 지켜진다고 본다”며 “사업자의 자율제한으로 충분히 클린마케팅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팽팽히 맞섰다.
한편 1일부터 시작된 KTF가입자의 SK텔레콤으로의 번호이동은 하루 1만 5000명을 넘기며 바람몰이를 해왔으나 지난 13일 처음(일요일 제외)으로 1만 명 이하인 8000명에 그치는 등 안정세로 돌아섰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측은 “대리점에 단말기 가격준수를 강력히 요청하고 이를 위반한 29개 대리점에 전산을 차단, 31개점에 경고조치하는 등 강력한 대응으로 시장을 안정화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반면 KTF와 LG텔레콤은 “26일 통신위 개최를 의식한 일시적인 힘 조절이 아니냐”며 의심을 풀지 않았다.
김용석기자@전자신문, yski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7월 이후 번호이동 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