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조직확대는 효율적 운영 전제돼야”

 ‘1·25 인터넷대란’ 이후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정보보호 관련 정부조직의 확대는 효율적 운영이 전제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정보보호 업체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시장조성 등을 통한 간접적인 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난달 21일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회장에 선출된 안철수 안연구소 사장은 6일 오전 서울 라마다 르네상스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1·25 인터넷대란 이후 정보보호 관련 정부조직이 확대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인력·조직 확충이 문제될 것은 없지만 효율적인 운영이 전제되지 않으면 조직만 비대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 회장은 이어 “그럴 경우 업체간 치열한 경쟁만 초래하게 돼 결국은 비대해진 정부조직과 외국업체만 남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거시적인 차원에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보보호 업체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일반 기업들의 정보보호 투자 마인드를 독려하고 건전한 시장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 회장은 또 협회의 위상에 대해서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협회가 정보보호 산업계를 대표함에도 불구하고 ‘미션’이 없었다”며 “앞으로 산업발전과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대표단체로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민간과 공공기관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며,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정보보호 컨설팅 전문업체와 ISAC간의 마찰도 이러한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오경수 수석부회장을 비롯한 7명의 부회장이 참석해 각각의 사업구상도 밝혔다.

 <박영하기자 yhp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