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희망의 단초

◆디지털경제부·장길수기자 ksjang@etnews.co.kr

 손에 땀을 쥐게 한 대통령 선거가 끝나자마자 증권가에는 이른바 ‘노무현 관련주’가 주목을 받고 있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과 투자분석가들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선거 당시 국민들에게 제시한 행정수도 이전, 전자상거래 등 IT산업 육성, 남북화해 기조 유지 등의 공약을 이유로 들어 신정부에서 각광받을 유망 업종과 종목들을 순발력있게 내놓고 있다. 이것이 이른바 노무현 관련주라는 것이다.

 노무현 관련주에는 계룡건설·대아건설·현대상선·충남방적·다음·인터파크·한솔CSN 등 여러 종목이 포함돼 있다.

 이미 이들 노무현 관련주 가운데 일부 종목은 20일 대통령 선거 후 처음으로 열린 증시에서 상한가까지 치고 오르는 등 노무현 관련주로서의 수혜를 톡톡히 누렸다. 이와 반대로 정몽준씨, 이회창 후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기업들의 주가는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대선 주자들의 엇갈린 운명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요동치는 것은 어찌 보면 매우 당연한 일이다. 새 대통령 당선자의 경제정책 기조나 정책 방향에 따라 경제시스템이나 관련 기업의 행로에 변화가 올 것이란 것은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20일 국내 증시에서는 다소 납득하기 힘든 대목도 있었다. 경남 김해에 있는 모 자동차 관련 부품업체가 노 당선자의 고향인 김해에 있다는 이유로 주가가 상한가까지 치솟았는가 하면 이회창 후보 아들의 인척이 대주주로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는 모 부품업체의 주가는 인정사정없이 하한가까지 밀렸다. 물론 해당기업들의 펀더멘털이 이 시점에 해당업체 주가에 반영됐다고 강변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보기에는 시기적으로 좋지 않다.

 비약하는지 모르지만 이들 종목의 주가 움직임은 사람들이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를 은근히 보여주고 있다. 아무리 새로운 정치를 지향한다 하더라도 정실이나 지역적인 연고가 개입하지 않겠느냐는 나름대로의 추측과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것이다. 국민들은 이번 선거에서 구태의 정치 대신 새로운 희망의 정치를 요구했다. 새로운 정치시스템과 새로운 경제시스템은 결국 동전의 양면일 수도 있다. 경제 역시 정실과 지역적 연고에서 탈피해야만 진정 제대로 설 수 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