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활동중인 한국 과학자가 미래의 신소재로 주목받는 고온 초전도체인 마그네슘디보라이드(MgB₂)의 초전도성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 최형준 박사(32)와 스티븐 G 루이 교수는 과학전문지 ‘네이처(15일자)’에서 MgB₂가 다른 초전도체보다 훨씬 높은 절대온도 39K(-234℃)에서 초전도성을 띠는 것은 내부 전자들이 ‘이중 에너지 간격(double energy gap)’이라는 특수한 성질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고온 초전도체는 절대온도 0도 이상의 일정 온도에서 저항을 상실, 다른 전도체와는 달리 열로 인한 에너지의 손실이 없으므로 전류가 계속 흐르는 성질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전력의 무손실 송전,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고속컴퓨터 등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유망 신소재다.
작년 2월 39K에서 초전도체가 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MgB₂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현상을 보일 뿐 아니라 제조가 쉽다는 점에서 고온 초전도체 실용화를 앞당길 물질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보통 20K 이하에서 초전도현상을 나타내는 다른 금속 초전도체와 달리 MgB₂가 39K에서 초전도성을 띠는 이유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아 이를 규명하는 것이 관련 학계의 과제였다.
최 박사는 2000년 서울대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UC버클리 ‘밀러 리서치 펠로’로 선발돼 박사 후 연구과정을 수행중이다.
<허의원기자 ewheo@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선]HBM에 가려진 한국 반도체 위기
-
2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2〉혁신의 기술 시대를 여는 서막(하)
-
3
[전문가기고]습지, 우리 미래를 위한 핵심 생태계
-
4
[인사]서울경제신문
-
5
[부음]김준하(삼성전자 MX사업부 디자이너)씨 부친상
-
6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0〉지역관광 SNS,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생산적 활용
-
7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35〉 [AC협회장 주간록45] 스타트업 전략과 손자병법의 오사칠계
-
8
[김경진의 디지털 트렌드] 〈21〉고객 세그먼트 분석 방법
-
9
[ET단상] 트럼프 2기 '플랫폼 국가'의 약진
-
10
[IT's 헬스]늘어나는 혼밥 인구, 주의해야 할 질환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