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로라코리아(대표 조지 터너)는 모토로라 연구소와 반도체 사업부 연구소가 공동으로 현재의 D램·S램·플래시메모리 등을 대체할 수 있는 메모리칩인 M램 시연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M램이란 자기저항식 랜덤액세스메모리(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를 뜻하는 것으로 어드레스 액세스 시간이 15나노초(ns) 이하다.
모토로라코리아 측은 『수십억번의 읽기·쓰기가 가능한 초기 실험 수치는 이 제품이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제품은 지난 2월에 열린 IEEE 국제 고체 회로 학술 회의와 지난달 열린 IEEE 국제 자기 학회에서 0.6미크론 공정을 사용해 어드레스 액세스 시간 14ns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토로라 측은 『M램은 무선 제품, 전자 수첩, 자동차 전자제어 제품 등 차세대 휴대용 전자제품의 단일칩 솔루션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인구기자 clark@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
1
[데스크라인] TSMC의 삼성 고사(枯死) 작전
-
2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
3
삼성전자 “올해 HBM 공급량 2배 확대”
-
4
삼성전자, 작년 300.9조원 매출로 역대 두번째…4분기 반도체 이익은 '뚝'
-
5
ASML, 지난해 매출 283억유로…“올해 매출 300억~350억유로 전망”
-
6
휴먼인모션로보틱스 “웨어러블 로봇으로 캐나다 공략”
-
7
SK온, 3사 합병 완료…“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 도약”
-
8
“데이터 실시간 공유”…LG엔솔, 소재·부품 협력사와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
9
고려아연 SMC “영풍 주식 취득은 정당한 조치”
-
10
美 상무부 지명자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약속 못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