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특집] 2차 전지의 종류와 업계 현황..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리튬이온 폴리머전지는 이온전도가 우수한 고체 전해질을 사용,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의 단점인 누액 가능성과 폭발 위험성을 제거한 것이 장점이다. 아직 양산기술이 안정되지 못해 세계적으로도 상품화되지는 못하고 있으나 에너지밀도가 ㎏당 1백50Wh로 리튬이온전지보다 20% 가량 높으며 1천회 정도 재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등 수명이 니켈카드뮴전지와 니켈수소전지 및 리튬이온전지보다 2배나 길다.

또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전지 설계가 가능하고 활물질의 가격이 저렴하며 제조공정을 간단하고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방전이 월 5% 정도로 작고 메모리 효과도 전혀 없어 리튬이온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는 미국의 울트라라이프와 베일런스, 구울드 몰텍 등의 업체가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나서고 있으며 소니, 산요, 마쓰시다, 도시바 등 일본 전지업체들도 개발에 착수, 상품화를 준비중이다. 특히 베일런스는 올해부터 이를 양산한다는 계획으로 현재 영국 북아일랜드 공장에 양산라인을 설치하는 등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LG금속이 영국 AEA社와 제휴해 개발을 추진해오다 포기했으나 한일정보통신이 지난해 5월 미국 베일런스와 합작으로 한일베일런스를 설립하고 올 초부터 공장건설에 나섰다. 한일베일런스는 올해안에 양산라인을 설치하고 내년부터는 국내 생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또한 한국전기연구소, KIST, ETRI 등도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현재 1백50∼3백회 재충전이 가능한 제품까지는 개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리튬이온전지와는 달리 일본보다 빨리 국산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리튬이온 폴리머전지는 3.8~4V의 전압을 내고 있어 1.2V 또는 3.6V의 전압을 내는 기존 전지와 호환이 어려워 향후 리튬이온전지 시장을 얼마나 대체해 나갈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