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면공학회와 일본표면기술협회 공동 주최로 지난 11, 12일 이틀간 과천 국립기술품질원에서 열린 한, 일 플라즈마, 박막기술 심포지엄이 성황리에 폐막됐다.
올해로 두번째를 맞는 이번 심포지엄에는 반도체공정의 핵심기술인 플라즈마, 박막기술공정, 플라즈마, 박막기술응용, 표면분석 및 초미세 가공공정 등 3개의 주제에 대해 한국 56편, 일본 59편의 논문이 발표됐으며 한, 일의 학계 및 업계전문가 2백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동녕 박사(서울대)의 「진공증착막의 미세구조와 표면현상」, 제정호 박사(포항제철 연구소)의 「실시간 싱크로트론 스케팅법으로 관찰한 박막의 우선배향」, 야수다 박사(나고야대)의 「실리콘 표면에서의 막 성장과 표면반응」 등에 관심이 모아졌다.
한국표면공학회 강성군 회장(한양대)은 『박막장비 및 공정기술의 낙후성, 영세성에 따른 투자부족, 반도체 대기업들의 박막 재료, 장비의 전량 수입의존 등으로 인해 국내 박막관련 기반기술이 취약한 실정』이라며 『이번 세미나에서 박막 및 플라즈마에 관해 우위를 보이고 있는 일본의 가공, 분석기술이 대거 소개돼 국내 기술발전에 적지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강병준 기자〉
많이 본 뉴스
-
1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2
기아, 첫 전기 세단 'EV4' 디자인 공개…내달 출격
-
3
'아무나 하는 게 아니었네'…신생 배터리 기업들 美 투자 줄줄이 취소
-
4
트럼프가 꼽은 러-우크라 휴전 데드라인… “4월 20일 부활절”
-
5
삼성전자, 자사주 3조원 소각…3조원 추가매입
-
6
최상목 “이제부턴 통상 총력전”…산업부 통상차관보는 美 도착
-
7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8
제약바이오 신규 1·2조 클럽 속속 등장…수익성 확대 '숙제'
-
9
최상목 권한대행 “연내 GPU 1만장…내년 상반기까지 1.8만장 확보 추진”
-
10
“애플 인텔리전스 탑재… '비전프로' 어떻게 달라지나”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