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수출활기예상

정부와 전자관련업계는 최근 북한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사찰 수용을 계기로 앞으로 남북한 교역등 대북경제협력이 다시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하고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7일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핵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경우 지난 92년 전면 중단됐던 대북한 경제협력을 재개하는 한편, 간접교역을 직교역체제로 전환하는 등 북한진출을 적극 장려할 계획이다.

이경우컬러TV, 통신케이블, 전자부품등을 중심으로한 전기.전자제품의 진출 확대와 함께 남.북합작투자도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노동집약적 성격이 강한 전자부품분야에서의 합작투자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통신분야도 유망 품목 으로 주목되고 있다.

이에따라 대우, 삼성, 럭키금성등 그동안 대북진출을 추진해 왔던 그룹들이 다각적인 대책을 세우고 있으며 전자관련업체들도 북한진출을 위한 사전검토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북한으로 부터 초청장을 받았거나 통일원에 방북신청을 해놓고 있는 기업은 현대, 삼성, 럭키금성, 대우, 선경등 40여개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핵문제가 예상했던 대로 완전 타결된다해도 특사교환등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후속조치가 남아있고 북한당국의 정책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점등을 감안, *자본투자가 적고 *저급기술을 위주로 하며 *단기간내 추진이 가능한 사업을 중심으로 북한진출을 단계적으로 추진 한다는 방침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전기.전자분야를 대상으로 한 전자관련업계의 대북진출도 당분간은 현지 공장 건설이나 합작투자등 대형사업의 진출은 어려울 것으로 분석 되고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