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한국GM 존재 이유

Photo Image
한국GM

한국GM이 철수설에 이어 노동조합의 파업 가능성이 가시화되며 긴장감이 재차 고조될 전망이다.

앞서 한국GM은 5월 전국 9개 직영 서비스센터와 부평공장 내 유휴 자산 등 활용도가 낮은 시설 매각을 발표했다. 철수설이 불거졌고, 노조는 자산 매각 철회를 촉구했다.

한국GM 뿐만 아니라 GM 본사도 철수설을 부인했지만, 노조는 쟁의행위 찬반투표까지 가결하며 파업을 예고했다. 노조의 목표가 임금 문제만이 아닌 것이다.

자산 매각 발표 이전 한국GM이 4월과 5월 부평공장에서 2만1000대와 1만여대 생산 추가를 결정한 사실을 감안하면 당장은 철수가 어렵지 않을까 싶다.

이 뿐만 아니라 한국GM이 부평공장에서 생산하는 차량은 미국 현지에는 생산 기반이 없는 모델이다. 부평공장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자동차 25% 관세 부과가 지속되면 미국 수출 의존도가 절대적인 한국GM의 지속가능성을 장담할 수 없는 만큼 철수설이 전혀 근거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분명한 건 한국GM의 철수는 한국GM노사에 한정된 이슈가 아니라는 점이다. 지역 경제와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이 지대하기 때문이다.

2018년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가 일자리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 지는 주지의 사실이다.

한국GM 협력사는 3000여 곳, 직접 고용 인력만 1만10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에 하나 한국GM이 철수하면 군산공장 폐쇄 당시보다 감수해야 할 고통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클 수 밖에 없다. 일자리와 지역경제 타격은 물론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생태계도 악영향을 감수해야 한다.

당장 시급한 건 한국GM이 자산매각이 불확실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경영 활동으로, 절대로 철수를 전제로 하는 게 아니라는 입장을 보다 분명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철수설을 불식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면 더할 나위 없다.

노조는 악화일로 상황으로 치닫는 건 경계해야 한다. 자산 매각이 예사롭지 않게 느껴지겠지만 '강대강' 대립만이 해법은 아니다. 현명한 대처가 필요하다.

정부와 국회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현재 국책은행인 한국산업은행은 한국GM 지분 17.91%를 보유한 2대 주주다. 특정 기업의 노사 갈등으로 간주해선 안된다. 자동차 산업과 국가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까지 깊이있게 살펴봐야 한다.

내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GM과 협력사의 일자리, 지역 경제, 자동차 산업을 생각하면 현재 체제가 유지되는 게 최선이다. 한국GM 철수설이 계속되면 노사가 감수해야 하는 사회적 손실과 기회비용이 적지 않을 것이고, 지역을 넘어 국가에도 부담으로 전가될 게 분명하다.

GM본사와 한국GM이 누차 철수설을 부인하고 있는 만큼 지나치게 예민할 필요는 없다. 한국GM노사 뿐만 아니라 이해관계자 모두 한국GM이 철수설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무엇인 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도 중요하지만, 기존에 있던 글로벌 기업이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김원배 기자 adolf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