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가 미국 관세 부과 가능성 관련 수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자금 패스트트랙, 애로신고센터 운영, 관세청의 한-미 HS-품목코드 연계 등 전방위 지원을 확대한다.
중기부는 28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 K-비즈홀에서 '수출 중소기업 지원 교육 및 현장상담회'를 개최하고,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을 수출 기업들과 공유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중기부와 중기중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PwC 등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실질적인 컨설팅도 제공할 예정이다.
설명회는 두 개의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미국 관세 정책 최신 동향과 주요 제품별 대응 방안, 성분 함량 계산법, 관세 적용 여부 판단 기준 등 현장 실무 중심의 내용을 다룬다. 이어지는 두 번째 세션에서는 중기부 정책자금 패스트트랙과 해외법인 정착자금, 15개 수출 애로신고센터, KTR의 해외규격 인증획득 지원사업 등이 소개된다.
관세청은 최근 발표한 한-미 간 HS코드 연계표를 바탕으로, 수출기업들이 자사 제품 관세 부과 가능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한다. 코트라는 '관세대응119' 제도를 통해 자주 묻는 질문과 실전 대응 사례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교육 외에도 사전 신청 여부와 관계없이 현장 접수를 통해 맞춤형 상담도 가능하다. 중기부는 서울 행사를 시작으로 4월 전라(7일), 경기(9일), 충청(11일), 경상(15일) 등 지역별 릴레이 설명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노용석 중기부 중소기업정책실장은 “4월 2일 미국 상호관세 부과가 예고된 상황에서, 수출기업들이 사전에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수출지원센터 누리집과 긴급대응반을 통해 현장 애로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