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이 전국에 퍼져있는 될성부른 중소·벤처기업의 M&A 활성화를 위해 전담 지원 플랫폼을 구축한다. 알짜 기업과 이에 관심을 갖는 기업을 매칭하고 기술 탈취 등의 문제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해 양측이 윈-윈하는 M&A를 이끌어낸다는 목표다.
이상창 기술보증기금(기보) 이사는 26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 위치한 기보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민관 협력 M&A 플랫폼' 오픈식에서 이같은 내용의 '민관 협력 M&A 플랫폼' 계획을 밝히며, 본격 가동을 선언했다.
이 이사는 “기술보증기금은 온오프라인 융합형 인수합병(M&A) 플랫폼을 구축해 중소벤처기업의 M&A를 원스톱으로 지원하고자 한다”라며 “'민관 협력 M&A 플랫폼'은 공공 부문과 민간 파트너의 강점을 살려 시너지를 창출하는 의미 있는 모델이 될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민관 협력 M&A 플랫폼'은 온오프라인이 결합한 새로운 M&A 지원 체계다. 전국 기보 영업점이 발굴한 M&A 수요를 전담센터에 추천하면, 전담센터가 이를 검토해 적절한 중개사와 연결하고 보증 지원과 기업가치 평가까지 제공하는 구조다.
나병록 기보 M&A지원센터장은 “이 플랫폼은 온라인 M&A 거래 정보망과 오프라인 기보 M&A 지원센터가 유기적으로 연계돼 운영되는 온오프라인 융합형 플랫폼”이라며 “전국 영업점에서 발굴한 M&A 수요를 기반으로 전담센터가 예비 심사를 거쳐 민간 중개기관인 M&A 파트너스와 연결하고, 필요시 보증 및 가치 평가까지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플랫폼은 매도·매수 기업 정보를 검색 기반 매칭 엔진을 통해 제공하며, 특히 매도기업의 기술 정보까지 연계해 M&A 성사 가능성을 높인다. 아울러 기술 탈취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보호 서비스도 함께 운영된다.
기보는 '테크-세이프(Tech-Safe)' 플랫폼을 통해 기업의 기술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보호할 계획이며, M&A 참여 기업은 기술거래 기록을 등록해 기술 탈취 시 증거로 활용할 수 있는 '증거지킴이(TTRS)' 서비스도 최대 5건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M&A를 통한 신산업 진출과 안정적인 가업승계를 돕기 위해 다양한 특화 보증상품도 운영된다. 대표적으로 △우수기술 기업의 인수합병 자금을 지원하는 '기술혁신형 M&A 특례보증' △기업 구조조정 및 부실기업 정상화를 위한 '기업인수보증' △대표자 고령화에 따른 기업승계를 반영한 '기업승계형 M&A 특례보증' 등이 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부도 플랫폼 출범에 맞춰 '2025년 M&A 활성화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2010년부터 추진돼 온 이 사업은 올해 두 가지 측면에서 개편·강화된다. △M&A 정보망 개편 △기업가치 평가 비용 지원 확대가 핵심이다.
기존 'M&A 거래정보망'은 'M&A 정보망'으로 이름이 바뀌고, 중개 기능은 플랫폼으로 이관된다. 앞으로는 실무 교육 콘텐츠와 국내외 M&A 동향을 제공하는 정보 포털로 기능이 전환될 예정이다. 개편은 오는 6월 말까지 완료된다.
아울러 매도 희망 기업의 기업가치 평가 비용 지원도 확대된다. 이는 회계법인이나 자문사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실사 비용이 중소기업의 M&A 진입 장벽이 된다는 현장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지원 대상은 매출 400억원 이하의 중소·벤처기업 중 'M&A 정보망' 또는 '기보 M&A 플랫폼'에 등록된 자문기관과 계약한 기업으로, 중소기업은 최대 1500만원(40%), 벤처기업은 최대 2000만원(60%)까지 비용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