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T, 출연·혁신기업 간 기술사업화 협력 플랫폼 운영 본격화

Photo Image
소규모 집중형 기술협의체(SRT) 개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이사장 김영식)는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과 혁신선도기업 간 기술사업화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소규모 집중형 기술협의체(SRT: Small Round Table)를 정기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NST 출연연 사업화공동추진 테스크포스(TF)가 주관하는 SRT는 출연연 보유 우수한 기술을 민간 기업 실제 수요와 연결, 신속한 시장 진입을 돕는 수요-공급 매치메이킹 플랫폼(NS MaP) 오프라인 플랫폼 중 하나다.

출연연 사업화 유망기술이 산업계로부터 냉정한 평가·검증을 받고, 연구개발(R&D) 방향을 시장 수요에 긴밀히 맞추는 역할을 한다.


SRT는 현재 소관 출연연 바이오 분야 기술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TF에서 발굴된 사업화 유망기술 연구책임자와 혁신선도기업 10~15곳이 참여하는 소규모 맞춤형 방식으로 운영되며, 매월 두 차례 정기적으로 개최된다.

TF는 SRT를 통해 △제약·신약 △건강기능식품 분야의 사업화 유망기술을 기업에 소개하고 연구자와 기업 간 직접 소통을 지원한다. 올해 들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2회, 제약·신약 분야에서 1회 SRT가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특히 TF는 특정 기업의 기술 수요에 맞춘 사업화 유망기술 소개는 물론, 특정 출연연 기술 중심 소개, 창업 아이템 소개, 테마별 기술 소개 등 다양한 형태의 SRT를 운영해 기업 맞춤형 협력을 추진한다.

기업·기술을 연결하는 도전·혁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시도다. 올해도 특정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SRT가 개최되며 높은 관심과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바 있다.

TF는 SRT 운영을 위해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 △시장 니즈 분석 △전년도 SRT 발표 기술 리뷰 △연구자 공모 △출연연 기술이전조직(TLO) 추천 △NST 융합전략연구단 성과 공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업화 후보기술을 발굴할 예정이다.

발굴 기술은 특허, 시장성, 투자 가능성 등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유망기술로 선정된다.

김영식 이사장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적기 제공해 출연연 혁신 기술이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NST는 공공기술과 민간수요를 잇는 기술사업화 '매치메이커' 역할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